워드프레스 보단 텍스트큐브가 해외호스팅에선 훨씬 빠르다.. 해외웹호스팅을 사용하고 있다.. 아무래도 워드프레스를 많이들 사용하니 워드프레스를 설치했다. 인터페이스가 영 적응이 안된다. 그러다보니 잘 안들어가게되고 속도도 느려서 글을 안 쓰게된다. 텍스트큐브가 가끔씩 꾸준히 판올림 되는 듯하기에 같은 해외호스팅에 설치해보았다. 아.... 체감 상 워드프레스 대비 날아다닌다. 파일업로드도 더 편리하다. 장기적으로 텍스트큐브로 사용해야겠다.
설치형 블로그 운영하면서 블로그 등록해야할 곳들, 그리고 블로그 최적화 설치형 블로그를 설치하시고 일단 적당히 카테고리 만드시고 정통으로 글을 20개 정도 썼다고 가정하고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검색용 1. 네이버에 블로그 등록요청 : http://help.naver.com/service/exMailQuestion.jsp?question_gubn=service&TBID=TBOX20071231000001&sub_tb_id=TBOX20071231000011 2. 다음에 블로그 등록요청 : http://cs.daum.net/mail/mail_form.jsp?LOGIN_TYPE=0&SITE_ID=15&CAT_ID=4115 3. 야후에 블로그 등록요청 : http://kr.helpboard.yahoo.com/hel..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답글이나 트래백을 RSS로 받아 볼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이것을 쉽게 받아보면 흔히들 말하는 소통에 좀 더 근접 할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하게되었습니다. 티스토리는 모르겠지만... 텍스트큐브는 이런 기능을 지원하네요. 현재 제가 사용하는 텍스트큐브의 버전은 입니다. Textcube 1.7.7 : Beta 2 기본 적으로 텍스트큐의 트래백, 답글의 RSS 의 경로는 http://도메인.com/rss/response 이것이 텍스트큐브닷컴의 답글, 트래백 RSS 주소입니다. 저 같은 경우는 RSS 리더로 텍스트큐브의 관리자 페이지에 있는. RSS 바깥 글 읽기를 사용합니다. 장기적으로는 한RSS 같은 큰 사이트를 이용하는 게 좋을 것 같네요. 이런 식으로 관리를 하면...
블로그에 글을 작성 시 텍스트큐브와 티스토리에 보면 공지, 키워드, 글이 있습니다. 공지와 글은 구지 설명을 하지 않아도 아실 것입니다. 키워드는 개념 잡기가 좀 모호한 부분이 있는데요. 키워드는 태그와 관련된 단어사전으로 이해하시면 편할 것 같습니다. 티스토리의 키워드관련 설명은 지우개닷컴에 잘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지우개닷컴의 키워드 설명보기 http://www.ziwoogae.com/952 텍스트큐브에서는.... 음... 가령 rss라는 키워드와 관련하여 적용하고 싶으면... 먼저 키워드로 제목에 rss 라고 입력하고 rss와 관련된 설명을 남깁니다. 그리고 rss 관련글을 작성 시 태그에 rss를 남기시면 방문자가 본문을 읽을 때 rss 에 링크가 생겨서 해당 rss 링크를 클릭하면 rss 관련..
텍스트큐브에는 "네트워크" - "RSS 바깥 글 읽기" 기능이 있습니다. 이 기능은 rss를 추가하여..볼 수 있는 .. 일종의 리더같은 것입니다. OPML: Outline Processor Markup Language 다른 운영체제와 환경 상에서 돌아가는 어플리케이션 사이에 개요-구조화된(outline-structured) 정보의 교환을 허용하는 XML 기반의 포맷 RSS 피드를 공유하는 데 많이 쓴다. 그런데.. 여기에 유명한 블로거들의 RSS를 일괄적으로 추가 할 수가 있는데.. 그것은 한RSS에서 OPML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손쉽게 추가가 가능합니다 텍스트큐브의 관리자페이지로 이동합니다. RSS 바깥 글 읽기를 선택 하시구요.. 피드를 추가한 모습입니다. 설정 부분을 보시면 이런 화면이 있..
써핑을 하다가 이쁜 스킨을 하나 발견했습니다. 정말 이쁘네요. J.Parker 님의 스킨입니다. 스킨 배포 주소는 http://create74.com/402 여기입니다. http://www.jparker.co.kr/dev/ 여기는 해당 스킨의 인터페이스를 미리 볼 수 있습니다. 본문은 560픽셀, 우측 사이드바는 300픽셀이고, 블로그 로고 이미지는 가로 298픽셀로 작업하시면 됩니다. JP_simpleV3_edition_20090206.zip 스킨 디렉토리 구조입니다. 티스토리에는 그에 맞게 적당히 편집하면 잘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네요. 블로그 로고 이미지 관리 플러그인 JP_BlogLogoManagerTT_20090105.zip 출처: http://create74.com/3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