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비장전(裵裨將傳)
- Uncategorized
- 2008. 12. 21.
배비장전(裵裨將傳)
* 해설 : 조선후기 풍자, 세태소설의 대표작으로서, 한때 판소리로 불려지기도 했던 작품이다. 여인에 혹하지 않겠다고 호기롭게 선언했던 배비장이 주변사람들의 꼬임에 속아 넘어가 수많은 사람들 보는 앞에서 발가벗고 헤엄을 치는 수모를 당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벼슬아치의 위선을 통렬히 풍자했다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이지만, 관료사회의 관행을 따르지 않는 신출내기에 대한 공모적 조롱이 부각된 면도 없지 않다.
* 자료 : 서강출판사 판 고전문학전집에 들어있는 내용을 발췌하여 수록하였다.
인생 천지간에 무론(無論)남녀하고 인종은 일반이언만 그중에 우열이 판이하여 남자에도 현인군자와 우부천맹(愚夫賤氓)이 있고 여중에도 청부열절과 음녀간희가 대불핍절(代不乏絶)하여 형형색색으로 측량치 못할 것은 자고급금(自古及今) 사람의 성질이라.
사람의 성질이란 것은 거생(居生)하는 지방의 산천풍기를 많이 응하여 산명수려한 지방에는 사람의 성질이 순후공근(淳厚恭謹)하여 악한 기운이 별로 없고 산천이 험준한 지방에는 그대로 사람의 성질이 우준간활(愚蠢奸猾)하게 나는 법이라.
호남좌도 제주군 한라산(漢拏山)은 옛적 탐라국(耽羅國) 주산이요 남방도중(南方途中) 제일명산이라 험준하고 수려한 정기가 어리어서 기생 애랑(妓生愛狼)이 생겨 낳나 보더라.
애랑이가 비록 천기로 났을망정 색태(色態)는 월서시(越西施) 양태진(陽太眞)을 압두하고 지혜는 남자로 말하면 진유자(陳留子)에 나리지 아니하고 간교는 구미호가 환생하였던지 호색남자가 얼켜들면 상토끝까지 빠져 허덕허덕하는 터일러라.
한양에 김경(金卿)이라하는 양반이 있으되 문필재력이 비범하여 십오세에 생원 진사 이십전 장원급제 초입사에 한림주서(翰林注書) 이조(吏曹) 옥당(玉堂) 승지당상(承旨堂上) 방백(方伯)을 바라더니 대신서계(大臣書啓) 끝에 제주목사(濟州牧使) 재수되니 김경이 즉시 도임(到任)길을 떠나려고 이호예공병형(吏戶禮工兵刑) 육방소임(六房所任) 골라 뺄새 서강(西江) 사는 배선달(裵先達)을 장막으로 급히 불러 예방소임(禮房所任) 매기시니 배비장이 집으로 돌아와서 대부인(大夫人)께 여짜오되,
“소자가 팔도강산 좋은 경(景)을 역력히 보았으되 제주(濟州)가 도중(島中)이라 시하(侍下)에 못갔삽더니 친한 양반이 제주목사를 하여 비장으로 가자하니 다녀 오겠삽나이다.”
대부인 그 말 듣고 이른 말이,
“제주라 하는 곳이 수로천리 육로천리 이천리원로에 날바리고 네 갔다가 나의 종신 못할 것이니 제발덕분 가지마라.”
배비장 여짜오되,
“단망(單望)으로 언약하고 아니가던 못하겠소.”
이때 배비장 실인(室人)이 곁에 있다가 하는 말이,
“제주라 하는 곳이 비록 사해(四海)도중이나 색향(色鄕)이라 하옵디다. 만일 그곳 가 계시다가 주색에 몸이잠겨 회정(回程)하지 못하오면 부모게도 불효요 첩(妾)의 신세 그아니 원통하오.”
“글량은 염려 마오. 이팔가인체사수(二八佳人體似酬)하니 요간장검잠우부(腰間長劍暫愚夫)라 수연불견인두락(雖然不見人頭落)이나 암리초군골수구(暗裡招君骨髓求)라 하였으니 기집새로이 아해를 비역(사내끼리 性交하듯이 하는 짓)이나하거더면 거먹쇠 아들일세.”
즉시 대부인께 하직(下直)하고 금마(錦馬)로 내려간다.
전령폐(傳令牌) 비끼 차고 영주(瀛州)로 향하을제 때는 방춘화절(芳春花節)이라. 이화 도화 행화방초(杏花芳草) 양류청청(楊柳靑靑) 녹수잔잔(綠水潺潺) 만산 화개경(滿山 花開景)이 좋은데 사면을 둘러보며 산호금편(珊瑚金鞭) 권마성(勸馬聲)에 행운(行雲)같이 재계 달려 연로각점(沿路各店) 중화숙소(中火宿所-여행하는 동안의 점심을 말함) 강진(康津) 해남(海南) 다리 놓아 해남관두(海南關頭) 다달으니 신연하인등대(新延下人等待)로다.
사또 신연하인 현신(現身) 받은 후 사공불러 분부하되,
“예서 배를 타면 제주로 며칠이나 가는고.”
사공이 분부 뫼와 여짜오되,
“일기가 청명하고 서풍이 살살 부오면 꼬문이 바람에 양돛을 갈라 붙이압고 에디에서 핑핑 소래나며 배앞이 물결에서 물결 갈리는 소래가 팔구월 열바가지 삼는 소리처럼 절벅절벅 하오면 일일 천리도 가사압고 반찜 가다 왜풍(倭風)을 만나 표풍(漂風)하면 영길이국(英吉利國)가 기도 쉽삽고 만일 짓이 틀리오면 쪽박없는 물도 먹고 숭어와 입도 맞치나이다.”
사또 또 분부하되,
“제주를 당일 득달하면 중상을 줄것이니 착실히 거행하라.”
사공이 분부뫼와 기다릴제 마침 일기 청명하고 서풍이 솔솔 부오니 사또 등선 하옵소서. 사또 대희하여 하인불러 분부하니 하인등이 사공을 재촉하여 발선할새 새로 무은 큰배 위에 낭천을 번듯 치고 산수병 모란병(山水屛牡丹屛) 겹겹이 둘러 친후 포진 장막(鋪陳帳幕) 배설하고 넌출비단 모란석에 채색놓은 쌍학침(雙鶴枕)과 청등홍등 병타구(甁唾口) 주석재떠리 늘어놓고 사또 등선한 연후 사또 위엄, 통인(通引) 좌우로 갈라서고 여러 비장(裨將)들은 다 각기 읍(揖)하여 이편 저편 갈라서서 어떤 비장은 흔감을 엄히 하고 어떤 비장은 착실한체 하고 요만이 꿀어 앉고 하인들은 장막밖에 이리 저리 갈러 않은 후 상선(上船)에 고사(告祀)하고 상선포(上船砲) 놓은 후에 선왕도(先往島)에 대풍(待風)하여 대해망망 천리파(大海茫茫千里波)에 배띠어라 조조자락 만조래(早朝 落晩潮來)라 지국총 지국총(至 悤至 悤) 어사와(於思臥)하니 의선어부일견고(倚船漁夫一肩高)라 도사공(都沙工)은 키를 틀고 역군은 아디틀어 바람맞추어 배 시길제 망망대해중에 떠가는 저 배로다. 호호창랑 노화월(浩浩滄浪蘆花月)에 범여선(范 船-越의 범여가 吳國을 평정하고 탈취당했던 西施를 도로 찾아 태우고 왔다는 배)이 떠가는 듯 두둥실 떠나갈제 사또 일히일비 하여 술디려라 먹고 노자 비장들도 술을 주며 곡강춘주인인취(曲江春酒人人醉)라 상하동락 관게 하랴 너도 먹고 나도 먹자.
사또 취흥(醉興)이 도도(陶陶)하여 풍월 지어 읊으되,
“청천이 도수중(倒水中)하니 어유백운간(魚遊白雲間)이라.”
이글 어떠한고 비장들이 대답하되,
“예, 좋소 문장귀(文章句)오.”
사또 취중에 희담한다.
“누구서 제주 배타기가 어렵다 하더니, 누어서 떡 먹기는 눈에 고물이나 떨어지고 앉아서 똥 누기는 발 허리나시지, 내 서울서 들으니 바다의 꼬리 큰 고기가 있다 하니 그 말이 옳으냐?”
사공이 여짜오되,
“수령개울 방축(防築)못도 지킨 영신(靈神)이 있다하니 중지바다를 건너 가오면서 취담을 마옵소서.”
그 말이 맞지 못하여 머역섬을 바삐 지나 추자도(楸子島)를 다달으니 상하 바다물 꼬리 중수하여 건너갈제 동정서망 초강분(洞庭西望楚江分)하니 수진남천 불견운(水盡南天不見雲)을 해색(海色)은 접천(接天)한데 난데없는 대풍이 졸지에 일어나며 사면이 침침 물결이 왈랑왈랑 태산같은 물마루가 뒤치어 우러렁 콸콸 뒤둥굴러 물결이 펄펄 배전을 따리고 바람에 띠집도 조각조각 흩어지며 키다리 꺾어져 용충줄 마루대가 동강동강 고물이 번 듯 이물로 숙여지고 이 물이 번 듯 고물로 숙여져 덤벙 뒤뚱 조리( 籬)질치니 tkEH 정신 놓고 비장 하인 분주하게 덤벙일제 사또 사공을 부르되 겁결에 고공(雇工)아 부르니 사공도 겁결에 떨며 그대로 예 예 하니 사또 그중에 노하여 이른 말이,
“이놈 양반은 수로에 익지 못하여 떨거니와 수로에 익은 놈이 저다지 떠는다.”
사공이 더욱 공동(恐動)하여 여쭙는다.
“소인이 십오세부터 화장으로 배에 올라 흑산도(黑山島) 대마도(大馬島) 칠산(柒山) 연평(延平) 바다를 무른며 주밟듯 다녔으되 이런 경난은 처음이요. 지부왕(地府王)이 삼촌 강림사자(降臨使者)가 적삼촌(嫡三寸)이요, 사해용왕이 외삼촌이라도 살아 보기는 극난이요. 살랴 하오면 이 물을 다 먹어야 살 듯 하오니 뉘 배로 다 먹겠소.”
이렇듯 황겁할제 비장들도 서로 운다. 비장 하나 신세 자탄하되,
“북당(北堂)의 학발양친(鶴髮兩親) 권리도중 날 보내고 부모와 자식 되어 이제 올가 저제 올가 홍안처자(紅顔妻子) 우리 안해 임 생각 잠못 일워 임가던 곳 바라보고 한심(寒心)짓고 눈물지며 일부일(日復月)기다릴제 몽중인들 오즉 하랴. 속절 없이 죽게 되니 이런 팔자 또 있는가.”
비장 하나 또 운다.
“나는 나이 사십이로되 자식 하나 없어 양자할 곳도 바이 없는지라 선영향화(先塋香火)끊게 되니 이아니 원통한가.”
비장 하나 또 운다.
“나는 형세가 가난하여 재주가 양태 소산이라 양태(凉太)동이나 얻어다가 가용에도 쓸것이요 우리 마누라 속것이 없어 한벌 얻어 입힐가 하고 나왔더니 속절없이 수중고혼 되겠으니 이 아니 원통한가.”
비장 하나 또 운다.
“나는 형세가 불빈(不貧)하니 집에 그저 있었던들 좋을 것을 이름자나 갈고 천(薦)을 터서 출입(出入)을 바라더니 속절없이 죽게 되니 이 아니 원통한가.”
이렇듯 탄식할제 사또는 정신없어 앉어 그 거동을 보다가 무슨 생각이 났던지 사공을 불러 분부한다.
“용왕이(龍王) 이제야 제수(祭需)를 달라나 싶으니 고사나 극진히 드려 보아라.”
사공이 분부 뫼와 거행한다. 영좌 화장 격군 머리모욕 정히 감고 허리간에 배석(拜席) 펴고 고물에는 청신 홍신 기를 좌우편 갈러 꽂고 큰 고리에 백미담어 사또 상의련(上衣練) 벗어 놓고 왼 소머리 생돌 잠어 큰 칼 꽂아 기는 듯이 디려 놓게 젯메(祭米) 공양(供養) 올린 후에 섬쌀 풀어 물에 넣고 도사공의 정성으로 나는 큰북 용총줄에 높이 달고 북채를 양수에 갈라 잡고 두리둥둥 북을 치며 축원한다.
“천지건곤(天地乾坤) 일월성신(日月星辰) 황천후토(皇天后土) 신령(神靈) 녹성군(祿星君)이 감동하와 한양성내(漢陽城內) 북부송연거(北部松硯居) 김씨건명(金氏乾命) 제주신관 목사도(濟州新官牧舍島)를 살리소서. 두리둥둥 동해(東海) 광리(廣利) 서해 광덕(廣德) 남해 광연(廣淵) 북해 광택(光宅) 물위의 용녀부인(龍女婦人) 물아래 하수용왕 참군영감(參軍令監) 내림하와 영주바다 건너갈제 순풍을 빌리소서 두리둥둥.”
고사를 드린 후에 사또 자탄하는 말이,
“생(生)은 기(寄)요 사(死)는 귀야(歸也)이라 하니 하우씨(夏禹氏) 앙천탄(仰天嘆)을 내게다 부쳤도다.”
이윽고 달 밝으며 수잔잔(水潺潺)하니 월중천애 독거주(月中天涯獨去舟)에 수파잔잔 불흥(水波潺潺不興)이라. 자언거수 승거산(自言居水勝居山)을 옛말로 상공불환 차강산(三公不換此江山)을 금일이야 알이로다. 어언간 제주성을 다달으니 지세도 좋거니와 풍경이야 더욱 좋다.
환풍정(喚風停) 배를 나려 화북진(禾北鎭) 좌기(坐起)하고 사면을 둘러보니 제주(濟州)가 십팔경(十八景)이라. 제일경은 망월루(望月樓)였다. 망월루 살펴보니 어떤 청춘남자 소년여자 서로 잡고 인연이별 낙누(戀戀離別落淚)한다.
이는 누군고 하니 구관사또 신임하던 정비장(鄭裨將)과 수청기생(守廳妓生) 애랑이와 양인의 이별이다.
(중략 - 제주를 떠나게 된 정비장이 기생 애랑의 속임수에 넘어가 재물은 물론이고 이빨까지 뽑아주면서 우스꽝스러운 짓을 하는 모습을 표현한 대목)
이렇듯 작별할제 신관사또 전배예방비장(前陪禮房裨將)이 이 거동 잠간 보고 방자(房子) 불러 묻는 말이, “저건너 저 노상(路上)에서 청춘남자 소년여자 서로 잡고 못 떠나는 저 거동이 우엔 일이니.”
방자 여짜오되,
“기생 애랑이와 구관사또의 정비장과 떠나느라고 작별인줄 아뢰오.”
배비장 그 말 듣고 비양하여 이른 말이,
“허랑한 장부로다. 이친척원부모(離親戚遠父母) 천리 밖에 와서 아녀자(兒女子)에 대혹하여 저대지 애걸하니 체면이 틀리었다. 우리야 만고절색 아니라 양귀비 서시라도 눈이나 떠 보게 되면 바색의 아들이다.”
방자놈 코웃음 하며 여짜오되.
“나리도 남의 말씀 수이 마압소서. 애랑의 은은한 태도와 연연한 안색을 보시면 오목 요(凹)자 움울 무더 게다가 세간사리를 하오리다.”
배비장 율기(律己-허황한 것)를 잔득 빼며 방자를 꾸짖는 말이,
“이놈 양반의 정체(政體)를 어찌 알고 경솔이 말을 하는다.”
“그러오면 황송하오되 소인과 내기 하옵시다.”
“무슨 내기를 하랴느냐?”
“나리께서 올라 가시시 전에 저기생에게 눈을 아니 뜨오시면 소인이 다솔식구(多率食口)가 댁에 가서 든안밥(밥만 얻어 먹으면서 남의 집에서 일하는 일꾼의 밥)을 먹삽고 만일 저 기생에게 반하오시면 타신 말을 소인 주기로 하십시다.”
배비장이 대답하되,
“그는 그리 하여라. 말 값이 천금 이로되 내기하고 너 소기랴.”
한참 이리할제 신관사또 구관사또 인교(印交)하고 새 사또 도임차로 들어 간다. 구름 같은 전후좌차(前後座次) 좌우청장(左右靑杖) 번듯 들고 호들거려 들어 갈제 삼현수(三絃手) 취타수(吹打手)며 전배 후배 사령군로(前陪後陪使令軍奴) 삼승섭수 노랑 홍의 남전대(藍纏帶) 눌러 띠고 인모전립(人毛戰笠) 우렁 삭모( 毛) 굴깃달어 날낼 용(勇)자 젓게 붙여 쓰고 곤장 주장(棍杖朱杖) 번듯 들고 쌍쌍이 늘어 서서 예이찌룩 좌우로 훤화(喧譁)할제 물색 좋은 청일산(靑日傘)에 세악성(細樂聲) 취타성(吹打聲)은 원근산천(遠近山川) 떠들럽게 이나노 나노 뚜따 쳐르르.
앵무같은 고은 기생 연영(年齡) 맞져 골라 뽑아 물색으로 단장하여 동문(東門) 안 대도상(大道上)으로 쌍쌍이 늘어서고 청도(淸道) 한쌍 순시(巡視) 두쌍 오색기치(五色旗幟) 찬란하고 전배비장(前陪裨將) 대단천익(大緞天翼) 광대(廣大)띠 순은장식 쇄금(純銀粧飾灑金)하여 가진 궁전(弓箭) 비끼 차고 저모립( 毛笠) 밀화패영(蜜花貝纓) 은입사(銀入 ) 맹호수(猛虎鬚)를 보기 좋게 꽂아 쓰고 공주면주(公州綿紬) 사마치를 가든하게 떨쳐 입고 은안백마(銀鞍白馬) 호피(虎皮)도돔 덩그렇고 높이 앉어 운종룡(雲從龍) 풍종호(風從虎)라. 승피백운선인(乘彼白雲仙人)들이이에서 더할소냐. 영무정(永舞亭) 바라보고 산지(山芝)내 얼핏 건너 북수각(北水閣) 지나 놓고 칠성(七星)골 너른 길로 관덕정(觀德亭) 돌아들제 권마성(勸馬聲)은 새득하고 취타성(吹打聲)은 동지(動地)로다. 인민들은 갈담하고 초목조차 굽히는듯.
전알전에 사배(賜杯)하고 만경루(萬景樓) 도림(到臨)할제 아희 남녀 노소 없이 신관사또 구경일다.
각방방임(各房房任) 대산군관(大傘軍官) 이노영(吏奴令)이 사또게 현신(現身)하고 임소(任所)로 각기 돌아오니 서천에 일락하고 동령(東嶺)에 달이 돋어 청풍명월 삼경야(淸風明月三更夜)에 태평기상(太平氣像)좋은 경이 금야(今夜)가 제일일듯.
모든 비장들이 여려 기생 차차 골라 다 정하고 방방이 청가단금(淸歌短琴) 곳곳이 상화(相和)하며 월야에 들리는 소리 듣기 좋고 처량하다. 이때 배비장(裵裨將)은 울음심사 한 가지로 놀고 싶으되 이미 정한 내기 장일언이 중천금이라 내 어찌 변할소냐. 남 노는것 비양하고 앉었을제, 여러 비장 동임(同任)들이 배비장을 권하여 전갈(傳喝)하되,
“방자야 네 예방(禮房) 나리께 가서 아까새(俄間-그 사이)문안 아옵고자 하옵니다. 하고 물색지지 이곳 와서 수심(愁心)하시니 우엔 일이오니까 하고 고향 생각 너무 마옵시고 차중 미색 골라 수청하옵고 사랑동포 정담하는 것이 장부소일(丈夫消日)이니 이제 돌아오시면 같이 놀겠삽나이다 하고 여쭈어라.”
방자놈 분부듣고 예방나리께 전갈 드린다.
배비장 전갈듣고 회답하되,
“먼저 물어 계시니 기 뚜거워 하옵니다. 하고 나리께서는 날과 동시 낙양 친구(同是洛陽親舊)로서 근본을 모르시니 애닯소이다 하고 우리는 본시 구대정남(九代貞男)이라 일정(一定) 잡마음은 없사오니 내말씀은 마시옵고 게서나 이목지소호(耳目之所好)와 심지지소락(心志之所樂)을 모두 다 하옵소서 하고 여쭈어라.” 하더니 무슨 급한 일이나 있는 듯이 방자를 펄적 부른다.
“이애 방자야-”
“예!”
“지금 기생 차지가 누군다.”
“행수(行首-기생을 말함)에 차질예로소이다.”
배비장이 차질예 불러 분부하되 네 만일 자금이후(自今以後)로 기생년들을 내 안전에 비취었다가는 엄곤(嚴棍)하리라 분부할제,
여차곡절(如此曲折)을 빗도가 잠간 들으시고 일등명기(一等名妓)를 다 부르신다. 기생을 부르되 안책(案冊) 들여 놓고 적구(摘句)하든 본새로 부르던 것이었다.
위성조우(渭城朝雨) 음경진( 輕塵)하니 객사청청(客舍靑靑) 유색이 사창에 비취었다. 섬섬영자(纖纖影子) 초월이 차문주가 하처재(借問酒家何處在)오 목동이요지(牧童遙指) 행화 사군불견(思君不見) 반월이 독자유황(獨者幽篁) 금선이 어주축수(魚舟逐水) 홍도 사시장춘(四時長春) 죽엽(絃樂器를 말함)이 얼굴이 곱다 화색이 태도곱다. 월하선이 줄풍류에 봉하운이 노태으뜸에 우월이 만당춘광(滿堂春光)에 홍연이 적하인간(謫下人間)에 강선이 봉내방장(蓬萊方丈)에 염주선이 색질기는 음덕이 흩은 서방에 탕진이 대방기생에 언란이 행수기생에 차질예 가무수작이 능란하다 제일색에 애랑이,
“예 등대(等待) 하였소.”
사또 분부하시되,
“너의 중에 배비장을 흠하게 하여 웃게 하는자 있으면 중상을 줄 것이니 그리할 기생이 있느냐.”
그 중에 애랑이 여짜오되,
“소녀가 불민하오나 사또 분부대로 거행할가 하나이다.”
빗도 이른말이,
“네 능히 배비장을 회절(毁節)시킬 재조가 있으면 제주 기생중에 인재가 있다 하리라.”
애랑이 여짜오되,
“시방 춘풍(時方春風) 좋은 때오니 빗도 명일 한라산 화류(漢拏山花柳)를 하옵시면 배비장을 안차흉계(按此凶計) 하오리다.”
사또 각방비장(各房裨將)과 의논하고 평명(平明)에 발령(發令)하여 한라산 화류갈제 사또행장 차린 위의(威儀) 볼작시면 용두(龍頭) 새김 주홍남여(朱紅藍輿) 호피(虎皮) 도듬 끼쳐타고 전월 부월(戰鉞斧鉞) 삼영집사(三營執事)순시영기(巡視令旗) 버려 꽂고 좌우로 헌화(喧 )할제 녹의 홍상 미색들은 백수 한삼(汗衫) 높이 들어 풍악(風樂)중에 노닐며 지야자자 하는 소리 만수화림(萬樹花林)중에 육각성(六角聲)을 섞이띠어 산명수응(山鳴水應) 잦았는데 이조명춘(以鳥鳴春)이라.
왼갖 새가 울음 운다. 후루룩 벅궁 꼬고약 꺽 푸드득 숙궁 솟적다 여그렁 비비죽 부러귀 가부락갑족 으흥 접동우는 것은 백화산 제백조(白花山諸百鳥)요. 벽게잔잔 호춘풍(碧溪潺潺好春風)에 얼클어지고 뒤틀어진 가지 잎잎이 뒤지기어 우줄 활활 굼이는 것은 장천녹림 수양지(長川綠林垂楊枝)요. 분류도화 황화수격(分流桃花黃河水格)으로 구비구비 휘휘돌쳐 우루렁 출정 풍풍 뒤질러 좌르를 컬컬 흐르는 것은 장천폭포(長川瀑布) 구곡수(九曲水)라. 청산녹주 돌아드니 만장봉래(萬丈蓬萊)가 여기로다.
사또 송하(松下)에 남여 놓고 경개(景槪)를 살펴보니 영주사면(瀛州四面) 푸른 물결 장천일색(長天一色) 둘레는데 쌍쌍백구 흘리 뜨고 점점어선(點點漁船)은 광하(廣河)에 돛을 달고 골골이 드나들제 청풍적벽(淸風赤壁) 소자첨(蘇子瞻)이 이 곳을 보았더면 적병강(赤壁江)에 어이 놀며 등왕각 악무중( 王閣樂舞中)에 왕발이 보았다던 낙하여고목제비(落霞與孤鶩濟飛)를 여기 와서 읊으리라. 산경수경(山景水景) 영주춘경 무한풍경(無限風景)이 좋을시고.
사또와 모든 비장이 명기색기 술을 부어 감홍로(甘紅露) 계당주(桂當酒) 취케먹고 춘흥겨워 노닐적에 배비장은 가하여 남 노는것 비양하고 글 지어 읊으되,
천장(天長)하니 한양은 노천리(露天里)요 해활(海 )하니 영주는 파만경(波萬頃)을 여화미인(如花美人)은 간초월(看楚越)이오 취롱강산 무한경(醉弄江山無限景)을,
이 때 배비장이 글을 읊으고 무료히 앉었다가 우연이 수포동(水布洞) 녹림간(綠林間)을 바라보니 양안도화(兩岸桃花) 어린 곳에 옥녀(玉女) 일색 일 미인이 어리락 백만교태(百萬嬌態)를 다 부리며 춘광(春光)을 희롱할제 백포장 녹림간(白布帳綠林間)으로 혹출혹입(惑出惑入) 혹좌혹립(惑座惑立) 연롱 한수 월롱사격(煙籠寒水月籠沙格)으로 이리 저리 노는 거동 월계화 명월궁(月桂花明月宮)에 월아선녀(月娥仙女) 거니는듯 양대운우(陽臺雲雨) 깊은 곳에 무산선녀(巫山仙女) 노니는듯 상하의복 활활 벗어 반석상(盤石上)에 올려 놓고 기러기 낙수상망격(落水相望格)으로 물에 풍덩 뛰어 들어 오는 거동 아미산(峨嵋山) 반륜추월(半輪秋月)이 평강수(平江水)에 잠겼는듯 둥굴둥굴 둥군 돌을 굴려 여산폭포(廬山瀑布)에 드리친 듯.
별유천지 무릉춘(別有天地武陵春)에 도화유수 묘연거격(桃花流水杳然去格)으로 물결 따라 나려가며 백구(白鷗)동동 반불침격(半不沈格)으로 이리 덤벙 저리 덤벙 울우렁 출렁 굽히는 것동 녹파담담(綠波淡淡) 저 연못에 세우(細雨) 뿌려 젖인 꽃이 구십춘광(九十春光) 때를 만나 부용화(芙蓉花)가 넘노는듯 왼가지로 교태(嬌態)한다.
맑은 믈 한 줌 옥수로 담숙 쥐어 분길 같은 양수를 칠팔월 가지 씻듯 보도독 씻어 보고 청계하엽(淸溪荷葉) 만발한데 푸른 연잎 뚝 떼어서 맑은 물 담숙 떠서 호치단순(晧齒丹脣) 물어다가 양치질도 솰솰하며 왁 토하여 뿜어도 보고 한 줌을 덤벅 쥐어 연적같은 젖퉁이도 씻어 보고 버들잎도 주루룩 훑어내려 석양풍에 펄펄날려 만수 잔잔 흐르는 물에 훨훨 띄워도 보고 홍홍난만(紅紅爛漫) 꽃도 따서 입에 담북 물어도 보고 꽃가지도 질근 꺾어 머리에도 꽂아 보고 물그림자 보고 솰솰 흩어 화용수 노는 고기 관어변(觀魚邊) 청계상에 은린옥척(銀鱗玉尺) 희롱하고 녹음방초청계변에 조약돌도 얼른 집어 양류상에 왕래하는 꾀꼬리를 아주 툭 처 날려도 보고 흑운 같이 채진 머리 솰솰 떨쳐 갈러내어 구룡도수 늙은 용이 물결뒤쳐 벽화춘천격으로 의후리쳐 틀어 두손으로 쥐는 양은 금봉차(金鳳 )가 좋을시고 꼬리 넓은 금붕어가 어변성료(魚變成龍)하랴 하고 벽파담담 물결 따라 구비구비 노니는듯 농춘파(弄春波)에 우루렁 출렁 모욕사는 저 거동 손도 씻고 발도 씻고 한창 이리 모욕할제 배비장이 그 거동 보고 어깨가 실룩 정신을 잃어 구대정남(九代貞男) 간데 없고 도리어 음남(淫男)이가 되어 눈을 모로 뜨고 숨을 도둑나무 하나 쫓긴 듯키 어깨춤에 호흡을 통치 못하여 혼자 이른 말이 뉘 여인인지 모르거니와 사람 여럿 구치었겠다 하며 그 여자 근본을 듣고 싶으되 묻도 못하고 헛 침만 모도와 생키며 아가니만 쓰고 무수히 자탄하되 차산(此山)의 좋은 경개 오늘날 모도 보고 비조투림(飛鳥投林)하여 잘새는 날러 들고 어촌낙조(漁村落照)는 석양(夕陽)이 거의로다.
사또 남여(藍輿) 타고 환관(還官)하랴 하고 선배(先陪)를 재촉한다. 여러 비장과 기생 하인들도 일제히 회정(回程)할제 배비장은 뒤처질 마음 두고 꾀병으로 배앓는다.
여러 비장 동임(同任)들이 기수채고 하는 말이 발생 혹하였구나 수군거리며 곁인사로 위로한다.
“예방(禮房)께서는 급곽란인가 싶으니 침이나 한대 맞으시요.”
“아니오. 침맞을 병 아니오 진정하면 낫겠소.”
여러 비장들이 웃음을 참고 방자를 불러 이른 말의 너의 나리 병환이 본병환이라 하시니 진정하여 잘 보시고 오너라 귀속하고 또 배비장더러 하는 말이,
“이대로 사또께 잘 여쭐 것이니 마음 놓고 진정하여 오시오.”
“등관께서 이처럼 염려하시니 감사하거니와 사또께 미안치 아니하도록 잘 여쭈어 주시기를 바라오 애고배야.”
그중에 동관 하나이 지꿎기가 짝이 없는지라 배비장 성화를 시키려고 수작한다.
“글랑은 염려 마시오 사또께서도 등관께서 이런 때 없는 병이 있는 줄 짐작하시는 갑디다. 들으니 이런 배앓는데는 기집의 손으로 문지르는 것이 당약이라 하니 기생 한년을 두고 갈 것이니 잘 문질러 보시오.”
“아니오 내 배는 다른 이와 달라서 기생을 보기만 하여도 더 아프니 그런 말씀은 내 귀에 다시 마오 애고 배야”
“그배 이상한 배요. 기집 말만 하여도 더 앓소그려 우리가 동시낙양지인(同是洛陽之人)으로 천리 밖에 와서 정의가 형제같은 터에 저처럼 고통하는 것을 혼자 두고 갈 수 있소 진정되거든 같이 갈밖에 없소.”
“에소 동관께서는 내 성미를 모르시는 가뵈다. 나는 병이 나면 혼자 진정을 해야 속히 낫지 만 형제간이라도 같이 있으면 낫기는 새로이 더 아프니 사람을 살리랴거든 제발덕분 어서 가시오 애고배야 애고배야 죽겠소.”
“그러시면 갈 수 밖에 없으니 혼자 갔다 무정터라 하지마시오.”
하고 사또 모시고 환관(還官)할제 배비장은 그 여인 볼랴 급한 마음에 배앓으며 방자를 부른다.
“방자야 애고배야.”
“예-.”
“이 애야 나는 여기를 오더니 취안이 몽롱하여 지척을 못보겠다 애고배야.”
“소인도 나리께서 애쓰는 것을 뵈오니 정신이 없읍니다.”
“우리 사또 가시는데 자세히 보와라.”
“중대(中臺)에 나려 가시오.”
“애고 배야 또 보와라.”
“산 모퉁이 지나었소.”
“애고 배야 또 보와라.”
“수불상견(樹不相見)에 가리었소.”
“산회노전(山回路轉)에 불견군(不見君)이라 내배 그만아프다.”
목욕하는 저 여자를 보랴 하고 계변화초(溪邊花草) 좁은 길로 몸을 숨겨 가만가만 섭분서며 가는 소리로 방자를 부르자 방자도 그대로 대답하나 말공대는 점점 없어졌다.
“예 우에 부르우?”
“너 저 거동 좀 보와라.”
“그 무엇 있소?”
“이 애야 요란히 구지 마라 조용히 구경 하자.”
물에 놀고 산에 놀고 백만교태(百萬嬌態)를 다 부리어 노는 거동 금(금)도 같고 옥도 같다.
“금이냐 옥이냐.”
“저물이 여수(濾水) 아니어던 금이 어이 노오리까.”
“그러면 옥이냐.”
“이곳이 형산(刑山) 아니어든 옥이 어이 있으리까.”
“금옥 아니면 꽃이냐 방춘기망(芳春欺罔) 매화냐.”
“동각설중(東閣雪中) 아니어던 매화 어찌 피오리까.”
“매화 아니면 도화냐.”
“무릉춘풍(武陵春風) 아니어던 도화어찌 피오리까.”
“도화 아니면 해당화냐.”
“십리명사 아니어던 해당화 어찌 피오리까.”
“그러면 황국단풍(黃菊丹楓) 국화냐.”
“구일용산(九日龍山) 아니어던 황화(黃化) 어이 피오리까.”
“꽃 아니면 용녀 선녀 귀비 월서시냐.”
“오호청풍(五湖淸風) 아니어던 월서시 어이 오며 온천수 아니어던 귀비 모욕 어이 할가.”
“서시 귀비 제 아니면 입안혼비(入眼魂迷) 불여호냐 여오 아니라 악호(惡狐)라도 사생결단 혹하겠다. 애고 애고 날죽인다.”
“나리 무엇을 보고 저대지미치십니까. 소인의 눈에는 아모곳도 아니 보입니다.”
“이 놈아 저기 저기 저 건너 백포장 속에 목욕하는 저것을 못본단 말이야.”
“예 나는 나리께서 무엇을 보시고 그러 하시나 하였지요.”
"옳소이다. 저 건너 목욕하는 여인 말씀이오니까."
"옳다 보았던 말이냐 쌍놈의 눈이라 양반의 눈보단 대단히 무디구나."
예 눈은 반상이 다르니까 소인의 눈이 나리눈보담 무디어 저런 비례의 것이 아니 뵈옵니다마는 마음도 반상이 달러 나리 마음은 소인보담 컴컴하고 음탐(淫貪)하여 남녀유별 체면도 모르고 규중처년 은근히 목욕하는 것을 욕심내어 눈을 쏘와 구경한단 말씀이오니까. 근래 서울 양반 자세(藉勢)하고 기집이라면 체면없이 옥심낼데 이니낼데 분간 없이 함부로 덤벙이다 봉변도 많이 당합니다. 유부가인(有夫佳人) 약수에 모욕하면 허물없이 일가 친척 은근히 물었다가 무례한 타인남자 버릇없는 눈치알고 일시에 냅다 치면 꼼짝없이 보리만 탈 것이니 저여자를 블생각 생의(生意)도 마오."
배비장 방자한테 무안 보고 하는 말이,
"다시는 아니 본다. 그러나 그것을 보면 정신이 갈리어 아무리 아니 보랴 하여도 지남석(指南石)에 날바늘 케이듯 눈이 가끔 그리로만 간다."
방자 보다가,
"저 눈."
배비장이,
"나 아니본다."
하면서도 그 여인에게로만 눈이 가는지라 잠시 꾀를 내어 방자를 불러,
"방자야 저 경(景) 좋다 서으로 살펴 보아라 부상삼백척(扶桑三百尺)에 불 같은 일모경(日暮景)이 그아니냐. 등으로 또 보아라 약수삼천리(弱水三千里)에 춘색이 묘연(杳然)한데 일쌍천조(一雙靑鳥)가 날어든다. 남으로 또 보아라 대해망망천리파(大海茫茫千里波)에 대붕(大鵬)이 비진(飛盡)하여 수여남(水如藍)에 푸른 물결 요식봉강( 飾峯崗) 둘려 있다. 북으로 또 와라 청천삭출 금부용(靑天削出 金芙蓉0이요 진북명산(鎭北名山)이 저기로다. 중앙을 쳐다 보아라 백로(白鷺) 탄 여동빈(呂洞賓)고래 탄 이적선(李謫仙) 기경비상천(騎鯨飛上天)하는구나."
방자 거짓 속는체 하고 가르치는 데로 살펴 보니 배비장은 그동안 여인 볼제 방자 보다.
"저 눈 일낼 눈이로구."
배비장이 깜짝 놀라 두 손으로 눈을 가리며,
"나 안본다 염려마라."
한참 이리 할제 방자 뜻 밖에 기침 한번 칵하니 저 여인이 놀라는체 하고 몸을 옴족 소시러쳐 문 밖으로 뛰어 나와 속것 치마 금척 안고 백포장 녹림간으로 얼른 뛰어드는 양은 삼오야 밟은 달이 구름 속에 들어 간듯 배비장게만 보다가 눈이 컴컴 으안이 벙벙 정신잃고 앉었다가 하는 말이,
"이놈 네 기침 한번 낭패로다."
이처럼 자탄하다가,
"이애 방자야."
"예-"
"네 저 백포장 밖에 가서 문안 한번 드리고 그 여인께 전갈(傳喝)하되 차산과객(此山過客)이 화류등림(花遊登臨)타가 행역에 노곤하고 기갈(飢渴)이 자심하니 혹 음식 있거던 기한(飢寒)을 면하게 구급(求急)을 시기압기천만 바라옵나이다 하고 여쭈어라."
방자놈 여짜오되,
"나는 죽으면 죽었지 그 전갈 못 가겠소. 부지초면에 전갈하고 남의 여자에게 음식 달라 다가는 난장박살(亂杖撲殺) 탕국에 어열밥 말아먹기 쉽겠소."
배비장 무료(無聊)하여 하는 말이,
"이애 방자야 만일 마질 지경이면 매는 내 마질 것이니 너는 들어 내빼라머나."
방자놈 하는 말이,
"나리 정경을 보오니 몽치 바람에 죽는대로 그리할 수 밖에 없소."
하고 설렁설렁 가만가만 건너 가서 헷절 한번 하고,
"쉬 애랑아 배비장이 발서 네게 혹하였으니 무슨 음식 있거든 좀 차려다구."
애랑이 웃고 음식 차릴제 산증귀물로 정갈하게 차리겠다. 대모(玳瑁) 쟁반 금채화기(金彩花器) 버려놓고 빛 좋은 청유백분 두견화전(杜鵑花煎) 한 접시 소담하게 담어 놓고 붉은 홍시 홍산백산 버려 놓고 등정주파 맑은 술 자라병에 가득 넣어 옥수르 내어 주며 이른 말이,
"너의 나리 무례하나 기갈이 자심타기 이 음식 보내오니 그도 먹고 너도 먹고 양인대작 산화개(兩人對酌 山花開)라 일배일배 부일배(一盃一盃 復一盃)에 양인이 포식한후 그곳 잠시 있지 말고 군자는 견기이작(君子見機而作)이라 하니 속거 속거(速去速去)하라 미구에 대탈 날라."
그 사연하고 음식 올리니 배비장이 질수구나 하고 음식 받아 앞에 놓고 칭찬하여 가로되,
"곁불안이라 하니 내 이러할 줄은 알었거니와 저 감에 이발 자옥이 우웬 것이니."
방자놈 여짜오되,
"그 여인이 감꼭지를 이로 물어 빼옵니다."
배비장 탈기(奪氣)하여 껄껄 웃으며,
"이 음식 너 다 먹어라 나는 감 하나만 먹겠다."
방자놈이 지꿎이 감을 짚으며 하는 말이,
"잇발 자옥 난 것이라 그 여인의 침이 묻어 더러우니 소인이나 먹겠소."
"이놈 기맥힌 소리 말어라 이리다구."
빼서 껍질채 감식(甘食)후에 그 여인께 답 전갈하되,
"이같은 좋은 음식을 보내셔서 잘 먹었읍니다. 하고 또 무례하온 말씀이오나 천생양(天生陽)하고 지생음(地生陰)하니 음양배합(陰陽配合)은 인개유지(人皆有之)라 방탕한 화류객이 홀등차산(忽登此山)하여 탐화봉점(探花蜂점)의 마을을 지지우지지(知之又知之) 하옵소서 하고 여쭈어라."
방자가 다녀와서 하는 말이,
"그 여인이 답례불청(答禮不廳)하고 큰탈날 것이니 속거속거하라 하옵디다."
배비장이 무료하여 탄식하며 하릴 없다 나려 가자 침소로 돌아와서 주소(晝宵) 생각이 그 여인을 못잊어 신음상사(呻吟想思) 하는 말이,
"한라산(漢拏山) 맑은 정기를 제가 모도 타고 나서 그리고이 생겼는고 못잊어서 한이로다. 동방(洞房)이 적막한데 임 생각 그지 없다. 춘풍에 우는 새는 회포를 머금은 듯 정제(庭際)에 푸른 풀은 별루(別淚)를 뿌리는 듯 신음상사 병이 골수에 깊이 들어 청춘원혼(靑春寃魂)되겠으니 북당(北堂)에 학발양친(鶴髮兩親) 춘규(春奎)에 홍안처자(紅顔妻子) 다시 보기 어려워라. 애고애고 이 일을 어찌 할고."
이처럼 애절하다 에라 죽더라도 한번하여 보고 죽으리라 결심하고 방자 불러 간청한다.
"이애 방자야."
"예 부르셨읍니까."
"이애 이리 좀 오너라 나는 또 죽을 병이 들었구나."
"무슨 병환이 드셨기에 그처럼 신음하십니까 패독산(敗毒散)이나 모두 굴러 두어첩 잡수어 보시오구려."
"아닐다 패독산 먹을 병 아닐다."
"그러면 망령 병환이 드셨나보외다그려. 망령병에는 당약이 있읍지요."
"무슨 약이란 말이냐."
"젊은 양반 망령에는 홍두깨를 삶어 먹는 것이 당약이라 하옵니다."
"아닐다 내병에는 약이 있다마는 얻기가 좀 어렵구나."
"그 무슨 약이기에 그처럼 어렵단 말씀이오니까. 하늘의 별도 따는데요."
"이애 그말만 들어도 속이 시원하다. 그러면 내가 살고 죽기는 네손에 달렸으니 날좀 살려다구."
"아따 이거는 누가 죽이오 어서 말씀이나 하시오구려."
"이애 너는 아다싶이 작일 한라산(漢拏山) 수포동(水布洞) 녹림간에 목욕하든 여인보고 자연병이 되어 죽을지경이로구나 그 여자좀 보게 하여 주려무나."
"팔결이오. 그 여자 규중에 내외가 깊었으니 만나 볼길 전여 없소."
배비장 무료하여 하는 말이 하릴없다. 고담(古談)이나 얻어 오너라 하더니 할일없이 남원부사 자제 이도령이 춘향 생각하며 글 읽듯 하는가 보더라.
삼국지, 구운몽, 경업전(慶業傳) 다 후리쳐버리고 숙향전(淑香傳) 내어 놓고 보와 갈제 <숙향아 숙향아 불상하다 그 모친이 이별할제 아가 아가 잘 있거라 애고 어머니 나도 가세> 아서라 다 던지고 녹림간(綠林間) 수포동(水布洞)에 목욕하던 그 여자 가는 허리를 담숙 안고 놀아볼가.
방자놈이 옆에 있다 하는 말이,
"나는 그게 숙향전으로 알았더니 상푸동 수포동전이 오구려."
"배비장 하는 말이 가끔 말이 그리로만 간다하며,
"이애 방자야 너와 나와 종요지담으로 말하자 그 여자가 음식 차려보낸 것을 보니 궐녀도 내게 불무심(不無心)이라 혹시 일이 되어도 언급이나 하여보자."
"엇다가 언급을 하여 보와요."
"그 여인에게."
"어림 없소. 그 여인 성정이 악남(惡男)이요 절개(節介)가 도구하니 그런 생의는 부대 마오."
배비장이 방자를 잡고,
"되나 못되나 편지 써 줄 것이니 일만 되면 구전 삼백양을 상금으로 너를 주마."
방자놈 구전 주마는 말을 듣고 관문 속에서 졸업한 놈이라 돈양이나 얻을 생각으로 질그시 미대는 수작으로 나온다.
"소인은 그 편지 못가지고 가겠읍니다."
"이애 그게 무슨 말이냐 내가 천리 밖에 와서 통정하고 지내는 하인이 너밖에 또 누가 있느냐."
"예 소인이 나리께 정리로 말하면 수화라도 모피(謨避)를 아니 하을 마음이오나 그렇지 못할 사정이 있읍니다."
"응 무슨 사정이란 말이냐."
"소인이 세살에 아비는 죽삽고 늙은 어미게 길러나 열살부텀 방자 구실을 하니 한달에 관가에서 주시는 것이라고는 돈 두냥뿐이오니 가진 심부림에 신발 값이나 되옵니까. 먹기는 각장 나림님네 진지대궁이나 얻어서 어미와 연명하는 터이 올시다. 소인 사정 이러하오니 사불여 의하여 소인 죽고 사는 것은 원통치 아니하오나 병신되어 나리도 모실 수 없삽고 늙은 어미를 얻어 먹일 수 있읍니까 생각을 하온즉 그런 위태한 거동 못하겠삽나이다."
"그량은 염려마라 만일 매를 마질 지경이면 너 낫도록 하여 줄 것이오. 너 늙은 어미는 내가 먹여 살릴 것이니 염려마라."
하며 궤문을 열더니 돈 백냥을 내어 주며 하는 말이,
"이것이 약소하나 네 어미 갖다 주어 양식이나 팔아 먹으라."
하고 지성으로 간청을 한다. 방자 못이기는 체 하고 여짜오되,
"그러면 편지나 잘 써 내시오."
배비장이 대회하여 편지 써서 방자 주며 백번이나 당부하여 이른 말이,
"일이 되고 안되기는 네 수단에 달렸으니 부대 눈치 있게 잘 드려라."
방자 편지 갖다 애랑 주니 그 서사 첫 비두에 하였으되,
제막(濟幕) 걸덕쇠(乞德釗)는 돈수재배(頓首再拜)하옵고, 공감일봉서(恐敢一封書)를 낭자(娘子)전에 부치나니 슬프다 이내 몸이 호탐자로 공명불성(功名不成)하여 영주도(瀛州島) 수천리에 남의 편비(扁裨)되어 와서 물새에 뜻이 없고 기암절승(奇岩絶勝)을 안하(眼下)에 희롱하더니 작일등유(昨日登遊)하여 한라산 화전(花煎)놀이 하고 녹림간 회로(回路)중에 옥안을 잠간 보고 입안혼미(入眼魂迷) 돌아 와서 욕망(慾忘)이 난망(難忘)이요 불사(不思)이 자사(自思)로다 식불감미(食不甘味)하고 와불면(訛不眠)하여 골수에 병이드니 장탄식(長嘆息) 단장성(斷腸聲)은 탁문군(卓文君)의 회심사(懷心思)라. 낭자화개신(娘子花開身)도 매일장춘(每日長春) 젊었을까 부득장춘(不得長春) 절로 늙어 홍안이 백수(白首)되면 시호시호(時乎時乎) 부재래(不再來)라 다시 젊기 어려워라. 상사고(想思苦)에 깊이 든병 신농씨(神農氏) 백초약(百草藥)이 무령(無靈)토다. 수절고행(守節高行) 부질없고 활인적덕(活人積德) 으뜸이니 장부생사(丈夫生死)는 재낭자(在娘子)하고 낭자허신은 재일언(在一言)이니 일언으로 결장부생사(決丈夫生死)하소서. 만단비회(萬端悲懷)를 일필난기(一筆難記)로다 총망중 잠적사오니 세세참상(細細參商) 있은 후 답장하옵기를 복결 갱복걸(更伏乞)이라. 하였더라. 방자 애랑다려 이른 말이 이애 답장을 하되 너무 허수이 말고 진드기 좀 캐어 하여라.
애랑의 답장을 맡어다 주니 배비장이 편지를 두손으로 받아 대학지도(大學之道)나 읽는 듯키 잔득 꿇어 앉어 무수이 진퇴를 하다가 보니 그 사연에 하였으되,
애중첩신(哀中妾身)은 답서일편(答書一片)을 제막탑하(濟幕榻下)에 부치나니 불면부지중(不面不知中)에 서사(書飼) 상통이 오활(汚 )토다. 욕망난망(慾忘難忘)이 괴이(怪異)하고 불사이자사(不思而自思)가 가소롭다. 병환(病患)을 모르거든 신병소약(身病所藥) 내웨 알며 보신탕(補身湯)을 내 아던가. 탁문군(卓文君)을 희롱하니 미친 호걸 또 있던가. 군자는 인신(人臣)으로 옛글을 모르시오 사군충(事君忠)과 종부지절(從夫之節)은 천지지상경(天地之常經)이요. 고금지통의(古今之痛義)어늘 남의 정절 앗으랴하니 충절유무(忠節有無)를 어차가지(於此可知)로다. 또한 유부녀 뜻한 일은 절통구박(切痛 泊)에 사연이 무궁오활(無窮汚 )토다. 미친 인사는 취심 퇴거(退去)하라.
배비장이 보와 가다가 퇴(退)자에 깜짝 놀라 대사거의(大事去矣)로다 다 보와 무엇 하리 애고 이 일을 어찌 할꼬 도중원혼(島中寃魂)되겠구나. 방자 곁에 섰다가 여보 나리 실심 마시고 그 아래를 보셨오 연(然)자가 있소구려 배비장이 다시 보와가다가 옳다 연(然)자의 뜻 알었다.
연(然)이나 연이나 장부후신(丈夫厚身)으로 유아이득병(自我而得病)라 하니 기의가긍(其意可矜)이라. 나는 규중첩신(閨中妾身)으로 출입을 임불(任不)하니 상봉이 극난이라 월락심야(月落深夜)에 벽헌당(碧軒當)을 찾어와서 은근히 내입즉 여군동침(來入則與君同枕) 하려니와 약실차처(若失此處)면 기실생사(其失生死) 위혜(危兮)로다. 만일 오실터면 가내 번거하고 계견(鷄犬)이 다다(多多)하니 북창(北窓) 현틈으로 연보유경(軟步猶輕)하여 신지(愼之)하라.
하였더라.
좋을시고 쾌병하다. 강호에 병이 들어 덧없이 죽겠더니 낭자 회답이 반갑도다. 삼경에 기약 고두 해 지기만 바라더니 석양이 다 져간다.
방자 입시(入侍) 보내고 빙방 안에 문을 닫고 그 여자에게 잘 뵈일려고 다시 의관(衣冠)을 차릴적에 외을 망건(網巾) 정주당건(定州당巾) 쾌자(快子) 전립(氈笠) 광대띠에 폐동개를 제법하고 빈 방안에 혼자 우뚝 서서 독개비 들린 듯이 혼자 말로 두런거리며 습의(習儀)하고 하는 말이,
"가만가만 걸어가서 여자 문전에 들어 서며 기침 한번을 가마니 하면 그 여인이 기수채고 문을 펄적 열었다. 걸음을 한번 대학지도(大學之道)로 이리 걸어 들어가 수인사(修人事) 후에 대천명(待天命)이라 하니 여자에게 한번 이리 군례(軍禮)로 뵈렸다."
한창 이리 습의(習儀)할제 방자놈이 뜻 밖에 문을 펄적 열며,
"나리 무엇하오."
배비장이 깜짝 놀라,
"너 벌써 왔느냐."
"예 군례(軍禮) 전에 대령하였소."
"이놈 내 깜짝 놀라 바로 땀이 난다."
하며 폐동개 한 채로 썩 나서니 오제산월락(烏啼山月落)하고 어화수(漁火水)에 불 비친다 전계(前溪)에 인귀(人歸)하고 춘풍에 학이 운다. 전 기약 맺인 낭자 차야(此夜) 중에 어서 가자 거들거려 갈제 방자놈 이른 말이,
"나리 소견 바이 없소. 밤중에 유부녀 통간(通姦)가오면서 금의야행(錦衣夜行)으로 저리하고 가다가는 될 일도 못 될 것이니 그 의관 다 벗으시오."
"벗기는 초라쿠나."
"초라커든 가지 마옵시다."
"이 애야 요란이 구지마라 내 벗으마."
활짝 벗고 알몸으로 서서 어떠하니,
"그것이 원 좋소마는 누구 보면 한라산 매 산양군으로 알겠소. 제주인물 복색으로 차리시오."
"제주인물 복색은 어떤 것이냐."
"개가죽 두루맥이에 노펑거지를 쓰시오."
"그것은 과히 초라쿠나."
"초라커든 그만 두시오."
"그러하단 말릴다 개가죽 아니라 도야지 가죽이라도 내 입으마."
하더니 구록피(狗鹿皮) 두루마기에 노펑거지를 쓰고 나서서 앞뒤를 살펴 보며,
"이애야 범 보면 개로 알겠다. 군기총 하나만 내어 들고 가자."
"무섭거든 가지 마옵시다."
"이애야 그러 하단 말릴다. 네 성정 그러 한줄 몰랐구나 정 못갈터이면 내 업고라도 가마."
배비장 뒤를 따라 가며 하는 말이 기약둔 사랑여자 어서 가 반기 보자 서입죽창(西入竹窓)돌아 들어 동편송계(東便松階) 다달으니 북창에 밝게 켠 불 고등(孤燈)은 일점이요. 야색은 삼경이라. 높은 담 궁글 찾아 가서 방자 먼저 기어들며,
"쉬 나리 잘못하다가는 일 날 것이니 두발을 한데 모아 묘리있게 드리 미시오."
배비장이 방자 말을 옳게 듣고 두 발을 모와 드리미니 방자놈이 안에서 배비장의 두 발목을 모아 쥐고 힘끝 잡아 다리니 부른 배가 딱 걸려서 들도 나도 아니하는지라 배비장 두눈을 희게 뜨고 이를 갈며 좀 놓아 다고 하면서 죽어도 문자는 쓰던 것이었다.
"포복불입( 腹不入)하니 출분이기사(出糞而幾死)로다."
방자 안에서 웃으며 탁 놓으니 배비장이 곤두박질하여 일어 앉으며 하는 말이,
"매사(每事)가 순리로 아니 되니 대패로다. 산모의 해산(解産)법으로 말하여도 아해를 머리부터 낳아야 순산이라 하니 내 상투를 드리 밀것이니 잘 잡아다려라."
방자놈이 배비장 상토를 노펑거지 쓴 채 왈칵 잡아다리니 아무리 하여도 나은 줄 모르겠다. 사지부생(死地復生)이라 원명(元命)이 재천(在天)이로다. 뻥하고 들어가니 배비장이 아프단 말도 못하고,
"어허 아마도 내등에 꼰질곤자 판을 노왔나 보다."
그리 할제 방자 여짜오되,
"불켠 저 방으로 들어가서 욕심대로 얼른 잠간하고 날새기전에 나오셔요."
하고 은신하여 엿본다.
배비장이 일변 좋기도 하고 일변 조심도 되어 가만가만 자취없이 들어가서 이리 기웃 저리 기웃 문앞에 가서 삽분삽분 손고락에 침을 발라 문궁글 배비작배비작 뚫고 일목으로 견지(見之)하니, 삼경(三更) 둥화(燈火)에 앉인 저 여인 연자이팔(年자二八) 고은 태도 썬블 등화 밝다 한들 너를 보니 어두운듯 피는도화 곱다 하되 너를 보니 무색한듯 저여인 거동보소 김해간죽(金海簡竹) 백통대관(白銅대管)에 삼등초(三登草)를 섭분 담아 청동화로(靑銅火爐) 백탄(白炭) 불에 삽분 길러 빨아 내니 향기로운 담배내가 일조 향등생자연(一條香登生紫烟)의 붉은 안개 피어 돋듯 일전이 점점 풍기어서 창궁그로 돌아나오니 그 담배를 손으로 웅키고 먹다가 생 담배가 코궁그로 들어 가서 재치기 한번을 악칵 하니 저 여인이 놀라는체 하고 문을 펄적 열떠리고,
"도적이야."
소리 하니 배비장이 겁결에,
"문안 드리오."
저 여인이 보다가 하는 말이,
"화호불성(畵虎不成)이로고 아마도 뉘 집 미친 개가 길 잘못 들어 왔나보다."
전반으로 한번 직근 치니 배비장 하는 말이,
"나 개 아니오."
"그러면 무엇이니."
" 배 걸덕쇠요."
저 기집 웃고 나서며 이 밤 기약의 님이 왔네. 손목 잡고 들어가며 자리하고 불을 끄세.
방자놈이 언성을 변하여 고함하고 들어가며,
"불 켜놓고 문 열어라. 황문보량은 내 막으마."
소리하니 저 여인 놀라는체 일신을 뜰며 황황할제 방자놈 언성 높여,
"요기롭고 고이한 년 내몸 하나 옴족하면 문 앞에 신 네짝 떠날 날이 없으니 어느 놈과 둘이 미쳐서 두런두런 하느냐. 이 연놈을 한주먹에 쇄골박살(碎骨樸殺) 하리라."
장담하고 들어보니 배비장 혼겁하여 황황하나 외문집이라 도망할 수 바이 없어 알몸으로 이불 쓰고 여자더러 이른 말이 죽어도 문자는 쓰던 것이었다.
"야장과반(夜將過半)에 내호개문(來呼開門)하니 호령자(號令者)는 수야(誰也)오."
저 여인 답하되,
"오가출두천(吾家出頭天)이요."
"그게 본부랑군(本夫郞君)이오. 성품이 어떠한고."
"성정은 제일 악남(惡男)으로 미련하기는 도척(盜 )이요 기운은 하우 같고 술즐기고 새암 발러 제 미음에 홰를 내면 백주발검(白晝拔劒) 칼 쓰기를 홍문연(鴻門宴) 번쾌( ) 방패 쓰듯 상산 조자룡(常山趙子龍) 장창(長창)쓰듯 공중용검 휙 지르면 맹호(猛虎)라도 쇠골(碎骨)하고 철벽이라도 뚜러지니 그대말고 옛날 장비(長飛) 복판 떼는 범강장달(范江張達)이라도 살어 보기는 틀렸으니 불상한 그대 목숨 날로 하여 죽게 되니 내가 죽고 살릴터면 그 아니 살려 줄가."
배비장 애걸하며 이른 말이,
"옛날 진궁여(秦宮女)는 형가(荊軻)의 큰 주먹에 소매 잡혀 죽을 진왕(秦王) 탄금(彈琴)하여 살렸으니 낭자도 의사 내어 날 살리게 제발 덕분 날 살리게."
저 기집 흉게 꾸며 큰 자루는 언제 하여 두었던지 가로 아구리를 벌리며,
"여게나 드시오."
"그기는 왜 들어 가라오."
"그리 들어 가면 자연 살 도리가 있으니 어서 바삐 드시오."
배비장이 절에 간 새약씨 모양이라 반색 못하고 들어 가니 그 게집이 배비장에 자루에 담은 후 자루끝을 모두아 상토에 가마매어 등잔뒤 방구석에 세워 놓고 불 켜노니, 저놈이 왈칵 문을 열며 섭분 들어서 사면을 돌데 보더니,
"저 방구석에 세워 둔것이 무엇이냐."
"그것은 알어 무얼 할라오."
"이년아 내가 들으면 대답을 할 것이지 반색이 무엇이냐 주리박맹이 맛을 보고 싶어서."
"골을 내어 거문고에 새줄 달어 세웠십네."
저놈이 눙치는체 하고,
"응 거문고여 그러면 좀 쳐보세."
하며 대꼭지로 배부른 통을 탁 치니 배비장이 질색하여 아프기 측량 없으되 참거문고인체 하고 자루 속에서,
"둥덩 둥덩"
"그 거문고 소래 장이 웅장하고 좋다 대현(大絃)을 쳤으니 소현(小絃) 또 쳐 보리라."
칩다 코를 탁 치니 둥덩 지덩
그 거문고 이상하다 아래를 쳐도 위에서 소리가 나고 위를 쳐도 위에서 소리가 나니 괴상하다.
저기집 대답하되,
"무식한 말하지도 마오 옛적 여화씨(女嬅氏)적에 생황오음육율(笙簧五音六律)을 내실적에 궁상각치우(宮商角 羽)를 청탁(淸濁)으로 울링오니 상청음(上淸音)도 화답(和答)이랍네."
이 놈이 옳게 듣는 듯이,
"네 말이 당연하다. 세사(世事)는 금삼척(琴三尺)이오. 생애는 주일배(酒一杯)라 사정강상월(射亭江上月)이요. 동각설중매(東閣雪中梅)라 술 한잔 날권하고 줄 골려라 오늘밤에 놀아보자 내 솔피하고 들어오마."
하고 문 밖에 나와 서서 기척없이 귀를 기우리고 엿듣는다.
배비장 자루 속에서 가만한 소리로 하는 말이,
"여보오 궐자(厥者)가 거문고를 좋아하는 수가 분명 내어 볼듯하니 다른 대로 나 이사좀 시켜주오."
저 여인 거동보소 우묵에 놓이 피나무 궤를 열고,
"예나 바삐 드시오."
배비장 궤를 보고 문자는 놓치 아니하고 쓰던 것이었다.
"체대궤소(體大 小)하니 하이은신(何以隱身)고."
저계집 하는 말이,
"그 궤가 밖으로 보기는 적사오나 속이 널러 은식(隱息)할만 하니 잔말 말고 바삐 드시오."
배비장 하릴없이 궤문 열고 두눈 감고 들어 가니 굽도 접도 못하여서 몸을 곱송거리고 생각하니 한심하고 설운지고 이놈의 흉게를 어찌 알리. 날 같은 호색남자 궤중에 고혼(孤渾)되기로 누구를 원망하리 저여인 궤문 닫고 쇠 채우니 함정에 든 범이요 우물에 든 고기로다. 답답 궤중 어찌 살리 이렇듯 자탄할 제 저놈이 다시 들어 오며 하는 말이,
"아무 것도 홍황없다. 내 아까 눈이 절로 소로로 감기면서 꿈을 꾸니 백수노인(白鬚老人)이 나를 불러 이르되 네 집의 거문고와 피나무궤가 있느냐 하시기로 내 말이 있노라 한즉 그 노인 가로되 금신(金神)이 혈입궤중(穴入 中)하여 무수작란(無數作亂)하니 그 궤가 유즉여가망(有則汝家亡)이요 무즉여가흥(無則汝家興)이라 역역히 현몽(現夢)하니 저 궤를 불어 소화(燒火)하리라 짚 한동 갖다 불 놓아라."
이때 궤 속에서 배비장 그말 듣고 탄식하되 인제는 바로 화장한다. 이 일을 어찌 할고 저 게집도 악을 쓰며 하는 말이,
"조상에서 전래하연 기물이라 소중한 저 궤 속에 업귀신(業鬼神)들어 있어 우리집 여러 식구 먹고 입고 씨고 남게 하는 업궤(業 )을 세 불살으던 못하오리."
이 놈이 화를 내어 하는 말이,
네 행실 저러하니 너 다리고 못 살겠다. 가장집물(家藏什物) 귀치 않고 절색 소첩(絶色 小妾)너도 싫다. 업궤(業 )하나 가졌으면 내 어디 가서 못 살소냐."
하더니 그 궤를 걸머지고 나서면서 이른 말이,
"이년 본부구정(本夫舊情) 날 바리고 간부신정(間夫新情) 네 취하나 가대(家垈)차지 잘 살어라."
저 여인 궤를 붙들며 하는 말이,
"업궤는 임자가 가져가면 나는 패가(廢家)하라는가 이궤는 못놓겠네. 가대차지 임자가 하고 업궤란 나를 주소."
저놈이 하는 말이,
"그럴테면 양편이 가난치 않게 이 업궤 한가운데 먹줄 맞쳐 갈러 내어 한도막식 가졌으면 그아니 평균할가 톱대어라 갈라보자."
하더니 대톱 드려 마조 잡고 다리어라 톱질이야 실근실근 디리어리 행실부정 몹쓸 년을 내 모르고 두었더니 오늘이야 알았구나. 월로결승(月老結繩) 처음 연분이 톱으로 잘 켜보자 이 궤를 갈러 내어 웃도막은 너를 주고 아래도 막 내가 지면 나는 소부(小副)되고 너는 대부(大副)되어 분복(分福)대로 각기 살자 이톱 바삐 다리어라 좔으를 점점 나려 가니, 배비장 궤 속에서 어뿔사 벌써 톱밥이 드는데 인제는 바로 요참(腰斬)한다. 겁결에,
"여보소 미련하오 하로밤을 자도 만리성을 쌓는다는데 살든 게집 그궤 모두 주오. 도막 짤으면 반실 아니되오."
이놈이 톱 내던지고 하는 말이,
"아뿔사 업궤신(業 神)이 도생(倒生)하여 인사가 되었으니 화침(火針)으로 지르자"하고 끝 좋은 가락 곳이를 불에 달구어 쑥 지르니 배비장의 왼편 눈으로 내려 온다.
배비장 기가 매키어 어뿔사 인제는 통제사를 하나보다. 죽기는 일반이니 악이나 써 보리라 하고,
"여보 아무리 무식하기로 눈망자가 중보(重寶)가 아니오."
이놈이 화침(火針)을 내던지고 하는 말이,
"에그 궤신( 神)이 저 상할 줄 미리 알고 애걸하니 정상이 가긍(可矜)이라. 제몸 상치 않게 궤채 져다 물에 넣으리라."
하고 질방거리 궤를 지고 문을 열며 썩 나서서 노래하되 상두꾼의 소리로 하든 것이었다.
워 너머차 너호 어와 원산에 안개 돌고 근촌(近村)에 닭이 운다.
워 너머차 너호 양곡(兩谷)에 젖은 안개 월봉(月峯)으로 돌아든다.
워 너머차 너호 어장촌(漁庄村)에 개는 짖고 회안봉(回雁峯)에 구름떳다.
동방을 바라보니 명성일점(明星一點) 샛별 뜨고 벽해천리 그늘 진다 고고천변( 天邊) 일윤홍(日輪紅)은 부상(扶桑)에 둥실 높이 떳다.
워 너머차 너호 어와 이 궤를 저다 저물에 드리칠가.
이처럼 지고 가며 소리하니 어디서 한자(者)이 나서며 하는 말이,
"게 네 진 것이 무엇이냐."
"업궤(業 )로세."
"그 궤 내게 파시오."
"업궤신(業 神) 자□가 장질(長疾)병에 약이라니 사다가 □지만 비고 놓고 싶네."
배비장 궤 속에서 이 말듣고 그 중에 좋와라고 혼자 새겨 생각하되 밑천은 없이도 목숨만 살았으면 소리 질러 하는 말이,
"여보 그 뉘신지는 모르거니와 그 흥정 놓치지 마시오. 성에랑은 내하오리."
이놈이 궤를 져다 사또 계신 동헌(東軒) 마당에다 벗어 놓으며 가장 물에다 갖다 넣는듯키 경계하여 이르는 말이,
"궤중귀신( 中鬼神) 네 들어라. 네 죄목(罪目) 만사무석(萬死無惜)이라 창파중에 띄우리니 속거천리(速去千里) 멀리 가거라."
하고 참물에나 띄우는듯키 물을 갖다 옆에 놓고 궤틈으로 부우면서 흔들흔들 정신 잃게 요동(搖動)하니 배비장이 생각하되 궤가 벌써 물에 떴다 물이 들면 가라앉이려니 인제는 신체도 못 찾을네 하면서 궤중에서 탄식(嘆息)한다.
"못 보겠다. 못 보겠다. 천리고향 백발부모 홍안처자 못 보겠다. 이물 속에 죽다 한들 멱라수(멱羅水) 아니어든 굴원(屈原)의 소절(騷節)되며 오강수(吳江水) 아니어든 자서(子胥)의 충절(忠節)될가 이름없고 남 모르게 탐색망신(耽色亡身) 죽게 되니 내 아니 잡놈인가 이런 때 배나 지나가면 목숨이나 살아 볼가."
이처럼 탄식할 제 사또 하인 불러 분부하되,
"너의들이 일시에 배 지나가는 듯이 소리하라."
하인들이 삼문(三門)을 삐득삐득 곤장을 뚝딱거리면서 어기 어차 소리하니 배비장 궤속에서 반겨듣고 궁리하여 생각하되 삐득삐득 하는 소리는 닻감는 소리오. 출렁출렁 하는 소리는 노 젓는 소리로다. 강동으로 가는 배 장한(張翰)인가 날 살리오 오백인(五百人) 싣고 입해도중(入海島中) 빨리 가는배 서블(徐市)인가 날 살리소. 기경태백(騎鯨太白) 소식듣고 풍월 실어 가는 저배 초강어부(楚江漁夫)냐 날 살리소. 임술추(壬戌秋) 적벽강(赤壁江)에 범주유(泛舟遊) 너 왔느냐. 소자첨(蘇子瞻)아 날 살리오. 청산만리(靑山萬里) 함께 가자. 일고주(一孤舟)야 날 살리소. 원포고범(遠浦孤帆)지나는 배 이 궤 실어 날 살리소. 궤중고함( 中高喊) 긴 소리로,
"저기 가는 저배 말좀 묻세."
곁에 있던 저 사령놈 사공인체 하고 썩 나서며,
"무슨 말이오."
"거기 가는 배가 어디 배람나."
"제주 배람네."
"무엇 실었십네."
"미역 전복 해삼 실었십네."
"가지 말고 내 말 듣게."
"어 무슨 말인가."
"어렵지만 이 궤 좀 실어다가 죽을 사람 살려 주오."
한참 이리 수작할 제 한자이 나서며 하는 말이,
"무변대해 저 수중에 궤중언성( 中言聲) 괴이하다. 우리 배에 부정탈라 상아대로 떠밀치라."
배비장이 하는 말이,
"나 잡것 아니오 사람이니 살려주오."
"사람이거든 거주 성명을 일러라."
"제주에 배걸덕쇠요."
한자이 나서며 이른 말이,
"제주라 하는 곳이 물색지지(物色之地)라 분명 유부녀 통간 갔다가 저 지경이 되었지."
"예- 옳소 뉘신지 모르거니와 참 아압니다."
하고 그중에도 좋아라구 하는 말이,
"하날이 도우신가 헌원씨(軒轅氏) 배를 무아 이제불통(以濟不通) 하온 뜻은 날 살리란 배 아닌가 물에 죽을내의 목숨 살려 적덕(積德)이니 적덕으로 날 살리오."
그 자이 하는 말이,
"우리 배에는 부정 탈가 못 올리겠고 궤문이나 열어 줄 것이니 능히 헤어 갈가."
"그랑은 염려 마오 내가 용산(龍山) 삼개 왕래할 제 개헤염 나치나 배왔소."
"이 물은 짠물이라 눈에 들면 멀것이니 감고 헤자."
"눈은 생전 멀지라도 목숨이나 살려 주오."
그 자이 하는 말이,
"그런 지경이면 눈이 멀지라도 날 원망은 마시오."
하고 함정 같이 잠긴 금거북쇠를 툭처 여러노니 배비장이 알몸으로 썩 나서며 그래도 소경 될까 염려하여 두눈을 잔득 가무며 이를 악물고 왈칵 냅다 짚으면서 두손을 헤우적 헤우적 하여 갈제 한 놈이 나서며 이리헤자. 한참 이 모양으로 헤어 갈제 동헌(東軒) 대뜰에다 대궁이를 딱 부디치니 배비장이 눈에 불이 번쩍 나서 두눈을 뜨며 살펴보니 동헌(東軒)에 삿도 앉고 대청(大廳)에 삼공형(三公兄)이며 전후좌우에 기생들과 육방관속(六房官屬) 노령배(奴令輩)가 일시에 두손으로 입을 막고 참는 것이 웃음이다.
* 해설 : 조선후기 풍자, 세태소설의 대표작으로서, 한때 판소리로 불려지기도 했던 작품이다. 여인에 혹하지 않겠다고 호기롭게 선언했던 배비장이 주변사람들의 꼬임에 속아 넘어가 수많은 사람들 보는 앞에서 발가벗고 헤엄을 치는 수모를 당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벼슬아치의 위선을 통렬히 풍자했다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이지만, 관료사회의 관행을 따르지 않는 신출내기에 대한 공모적 조롱이 부각된 면도 없지 않다.
* 자료 : 서강출판사 판 고전문학전집에 들어있는 내용을 발췌하여 수록하였다.
인생 천지간에 무론(無論)남녀하고 인종은 일반이언만 그중에 우열이 판이하여 남자에도 현인군자와 우부천맹(愚夫賤氓)이 있고 여중에도 청부열절과 음녀간희가 대불핍절(代不乏絶)하여 형형색색으로 측량치 못할 것은 자고급금(自古及今) 사람의 성질이라.
사람의 성질이란 것은 거생(居生)하는 지방의 산천풍기를 많이 응하여 산명수려한 지방에는 사람의 성질이 순후공근(淳厚恭謹)하여 악한 기운이 별로 없고 산천이 험준한 지방에는 그대로 사람의 성질이 우준간활(愚蠢奸猾)하게 나는 법이라.
호남좌도 제주군 한라산(漢拏山)은 옛적 탐라국(耽羅國) 주산이요 남방도중(南方途中) 제일명산이라 험준하고 수려한 정기가 어리어서 기생 애랑(妓生愛狼)이 생겨 낳나 보더라.
애랑이가 비록 천기로 났을망정 색태(色態)는 월서시(越西施) 양태진(陽太眞)을 압두하고 지혜는 남자로 말하면 진유자(陳留子)에 나리지 아니하고 간교는 구미호가 환생하였던지 호색남자가 얼켜들면 상토끝까지 빠져 허덕허덕하는 터일러라.
한양에 김경(金卿)이라하는 양반이 있으되 문필재력이 비범하여 십오세에 생원 진사 이십전 장원급제 초입사에 한림주서(翰林注書) 이조(吏曹) 옥당(玉堂) 승지당상(承旨堂上) 방백(方伯)을 바라더니 대신서계(大臣書啓) 끝에 제주목사(濟州牧使) 재수되니 김경이 즉시 도임(到任)길을 떠나려고 이호예공병형(吏戶禮工兵刑) 육방소임(六房所任) 골라 뺄새 서강(西江) 사는 배선달(裵先達)을 장막으로 급히 불러 예방소임(禮房所任) 매기시니 배비장이 집으로 돌아와서 대부인(大夫人)께 여짜오되,
“소자가 팔도강산 좋은 경(景)을 역력히 보았으되 제주(濟州)가 도중(島中)이라 시하(侍下)에 못갔삽더니 친한 양반이 제주목사를 하여 비장으로 가자하니 다녀 오겠삽나이다.”
대부인 그 말 듣고 이른 말이,
“제주라 하는 곳이 수로천리 육로천리 이천리원로에 날바리고 네 갔다가 나의 종신 못할 것이니 제발덕분 가지마라.”
배비장 여짜오되,
“단망(單望)으로 언약하고 아니가던 못하겠소.”
이때 배비장 실인(室人)이 곁에 있다가 하는 말이,
“제주라 하는 곳이 비록 사해(四海)도중이나 색향(色鄕)이라 하옵디다. 만일 그곳 가 계시다가 주색에 몸이잠겨 회정(回程)하지 못하오면 부모게도 불효요 첩(妾)의 신세 그아니 원통하오.”
“글량은 염려 마오. 이팔가인체사수(二八佳人體似酬)하니 요간장검잠우부(腰間長劍暫愚夫)라 수연불견인두락(雖然不見人頭落)이나 암리초군골수구(暗裡招君骨髓求)라 하였으니 기집새로이 아해를 비역(사내끼리 性交하듯이 하는 짓)이나하거더면 거먹쇠 아들일세.”
즉시 대부인께 하직(下直)하고 금마(錦馬)로 내려간다.
전령폐(傳令牌) 비끼 차고 영주(瀛州)로 향하을제 때는 방춘화절(芳春花節)이라. 이화 도화 행화방초(杏花芳草) 양류청청(楊柳靑靑) 녹수잔잔(綠水潺潺) 만산 화개경(滿山 花開景)이 좋은데 사면을 둘러보며 산호금편(珊瑚金鞭) 권마성(勸馬聲)에 행운(行雲)같이 재계 달려 연로각점(沿路各店) 중화숙소(中火宿所-여행하는 동안의 점심을 말함) 강진(康津) 해남(海南) 다리 놓아 해남관두(海南關頭) 다달으니 신연하인등대(新延下人等待)로다.
사또 신연하인 현신(現身) 받은 후 사공불러 분부하되,
“예서 배를 타면 제주로 며칠이나 가는고.”
사공이 분부 뫼와 여짜오되,
“일기가 청명하고 서풍이 살살 부오면 꼬문이 바람에 양돛을 갈라 붙이압고 에디에서 핑핑 소래나며 배앞이 물결에서 물결 갈리는 소래가 팔구월 열바가지 삼는 소리처럼 절벅절벅 하오면 일일 천리도 가사압고 반찜 가다 왜풍(倭風)을 만나 표풍(漂風)하면 영길이국(英吉利國)가 기도 쉽삽고 만일 짓이 틀리오면 쪽박없는 물도 먹고 숭어와 입도 맞치나이다.”
사또 또 분부하되,
“제주를 당일 득달하면 중상을 줄것이니 착실히 거행하라.”
사공이 분부뫼와 기다릴제 마침 일기 청명하고 서풍이 솔솔 부오니 사또 등선 하옵소서. 사또 대희하여 하인불러 분부하니 하인등이 사공을 재촉하여 발선할새 새로 무은 큰배 위에 낭천을 번듯 치고 산수병 모란병(山水屛牡丹屛) 겹겹이 둘러 친후 포진 장막(鋪陳帳幕) 배설하고 넌출비단 모란석에 채색놓은 쌍학침(雙鶴枕)과 청등홍등 병타구(甁唾口) 주석재떠리 늘어놓고 사또 등선한 연후 사또 위엄, 통인(通引) 좌우로 갈라서고 여러 비장(裨將)들은 다 각기 읍(揖)하여 이편 저편 갈라서서 어떤 비장은 흔감을 엄히 하고 어떤 비장은 착실한체 하고 요만이 꿀어 앉고 하인들은 장막밖에 이리 저리 갈러 않은 후 상선(上船)에 고사(告祀)하고 상선포(上船砲) 놓은 후에 선왕도(先往島)에 대풍(待風)하여 대해망망 천리파(大海茫茫千里波)에 배띠어라 조조자락 만조래(早朝 落晩潮來)라 지국총 지국총(至 悤至 悤) 어사와(於思臥)하니 의선어부일견고(倚船漁夫一肩高)라 도사공(都沙工)은 키를 틀고 역군은 아디틀어 바람맞추어 배 시길제 망망대해중에 떠가는 저 배로다. 호호창랑 노화월(浩浩滄浪蘆花月)에 범여선(范 船-越의 범여가 吳國을 평정하고 탈취당했던 西施를 도로 찾아 태우고 왔다는 배)이 떠가는 듯 두둥실 떠나갈제 사또 일히일비 하여 술디려라 먹고 노자 비장들도 술을 주며 곡강춘주인인취(曲江春酒人人醉)라 상하동락 관게 하랴 너도 먹고 나도 먹자.
사또 취흥(醉興)이 도도(陶陶)하여 풍월 지어 읊으되,
“청천이 도수중(倒水中)하니 어유백운간(魚遊白雲間)이라.”
이글 어떠한고 비장들이 대답하되,
“예, 좋소 문장귀(文章句)오.”
사또 취중에 희담한다.
“누구서 제주 배타기가 어렵다 하더니, 누어서 떡 먹기는 눈에 고물이나 떨어지고 앉아서 똥 누기는 발 허리나시지, 내 서울서 들으니 바다의 꼬리 큰 고기가 있다 하니 그 말이 옳으냐?”
사공이 여짜오되,
“수령개울 방축(防築)못도 지킨 영신(靈神)이 있다하니 중지바다를 건너 가오면서 취담을 마옵소서.”
그 말이 맞지 못하여 머역섬을 바삐 지나 추자도(楸子島)를 다달으니 상하 바다물 꼬리 중수하여 건너갈제 동정서망 초강분(洞庭西望楚江分)하니 수진남천 불견운(水盡南天不見雲)을 해색(海色)은 접천(接天)한데 난데없는 대풍이 졸지에 일어나며 사면이 침침 물결이 왈랑왈랑 태산같은 물마루가 뒤치어 우러렁 콸콸 뒤둥굴러 물결이 펄펄 배전을 따리고 바람에 띠집도 조각조각 흩어지며 키다리 꺾어져 용충줄 마루대가 동강동강 고물이 번 듯 이물로 숙여지고 이 물이 번 듯 고물로 숙여져 덤벙 뒤뚱 조리( 籬)질치니 tkEH 정신 놓고 비장 하인 분주하게 덤벙일제 사또 사공을 부르되 겁결에 고공(雇工)아 부르니 사공도 겁결에 떨며 그대로 예 예 하니 사또 그중에 노하여 이른 말이,
“이놈 양반은 수로에 익지 못하여 떨거니와 수로에 익은 놈이 저다지 떠는다.”
사공이 더욱 공동(恐動)하여 여쭙는다.
“소인이 십오세부터 화장으로 배에 올라 흑산도(黑山島) 대마도(大馬島) 칠산(柒山) 연평(延平) 바다를 무른며 주밟듯 다녔으되 이런 경난은 처음이요. 지부왕(地府王)이 삼촌 강림사자(降臨使者)가 적삼촌(嫡三寸)이요, 사해용왕이 외삼촌이라도 살아 보기는 극난이요. 살랴 하오면 이 물을 다 먹어야 살 듯 하오니 뉘 배로 다 먹겠소.”
이렇듯 황겁할제 비장들도 서로 운다. 비장 하나 신세 자탄하되,
“북당(北堂)의 학발양친(鶴髮兩親) 권리도중 날 보내고 부모와 자식 되어 이제 올가 저제 올가 홍안처자(紅顔妻子) 우리 안해 임 생각 잠못 일워 임가던 곳 바라보고 한심(寒心)짓고 눈물지며 일부일(日復月)기다릴제 몽중인들 오즉 하랴. 속절 없이 죽게 되니 이런 팔자 또 있는가.”
비장 하나 또 운다.
“나는 나이 사십이로되 자식 하나 없어 양자할 곳도 바이 없는지라 선영향화(先塋香火)끊게 되니 이아니 원통한가.”
비장 하나 또 운다.
“나는 형세가 가난하여 재주가 양태 소산이라 양태(凉太)동이나 얻어다가 가용에도 쓸것이요 우리 마누라 속것이 없어 한벌 얻어 입힐가 하고 나왔더니 속절없이 수중고혼 되겠으니 이 아니 원통한가.”
비장 하나 또 운다.
“나는 형세가 불빈(不貧)하니 집에 그저 있었던들 좋을 것을 이름자나 갈고 천(薦)을 터서 출입(出入)을 바라더니 속절없이 죽게 되니 이 아니 원통한가.”
이렇듯 탄식할제 사또는 정신없어 앉어 그 거동을 보다가 무슨 생각이 났던지 사공을 불러 분부한다.
“용왕이(龍王) 이제야 제수(祭需)를 달라나 싶으니 고사나 극진히 드려 보아라.”
사공이 분부 뫼와 거행한다. 영좌 화장 격군 머리모욕 정히 감고 허리간에 배석(拜席) 펴고 고물에는 청신 홍신 기를 좌우편 갈러 꽂고 큰 고리에 백미담어 사또 상의련(上衣練) 벗어 놓고 왼 소머리 생돌 잠어 큰 칼 꽂아 기는 듯이 디려 놓게 젯메(祭米) 공양(供養) 올린 후에 섬쌀 풀어 물에 넣고 도사공의 정성으로 나는 큰북 용총줄에 높이 달고 북채를 양수에 갈라 잡고 두리둥둥 북을 치며 축원한다.
“천지건곤(天地乾坤) 일월성신(日月星辰) 황천후토(皇天后土) 신령(神靈) 녹성군(祿星君)이 감동하와 한양성내(漢陽城內) 북부송연거(北部松硯居) 김씨건명(金氏乾命) 제주신관 목사도(濟州新官牧舍島)를 살리소서. 두리둥둥 동해(東海) 광리(廣利) 서해 광덕(廣德) 남해 광연(廣淵) 북해 광택(光宅) 물위의 용녀부인(龍女婦人) 물아래 하수용왕 참군영감(參軍令監) 내림하와 영주바다 건너갈제 순풍을 빌리소서 두리둥둥.”
고사를 드린 후에 사또 자탄하는 말이,
“생(生)은 기(寄)요 사(死)는 귀야(歸也)이라 하니 하우씨(夏禹氏) 앙천탄(仰天嘆)을 내게다 부쳤도다.”
이윽고 달 밝으며 수잔잔(水潺潺)하니 월중천애 독거주(月中天涯獨去舟)에 수파잔잔 불흥(水波潺潺不興)이라. 자언거수 승거산(自言居水勝居山)을 옛말로 상공불환 차강산(三公不換此江山)을 금일이야 알이로다. 어언간 제주성을 다달으니 지세도 좋거니와 풍경이야 더욱 좋다.
환풍정(喚風停) 배를 나려 화북진(禾北鎭) 좌기(坐起)하고 사면을 둘러보니 제주(濟州)가 십팔경(十八景)이라. 제일경은 망월루(望月樓)였다. 망월루 살펴보니 어떤 청춘남자 소년여자 서로 잡고 인연이별 낙누(戀戀離別落淚)한다.
이는 누군고 하니 구관사또 신임하던 정비장(鄭裨將)과 수청기생(守廳妓生) 애랑이와 양인의 이별이다.
(중략 - 제주를 떠나게 된 정비장이 기생 애랑의 속임수에 넘어가 재물은 물론이고 이빨까지 뽑아주면서 우스꽝스러운 짓을 하는 모습을 표현한 대목)
이렇듯 작별할제 신관사또 전배예방비장(前陪禮房裨將)이 이 거동 잠간 보고 방자(房子) 불러 묻는 말이, “저건너 저 노상(路上)에서 청춘남자 소년여자 서로 잡고 못 떠나는 저 거동이 우엔 일이니.”
방자 여짜오되,
“기생 애랑이와 구관사또의 정비장과 떠나느라고 작별인줄 아뢰오.”
배비장 그 말 듣고 비양하여 이른 말이,
“허랑한 장부로다. 이친척원부모(離親戚遠父母) 천리 밖에 와서 아녀자(兒女子)에 대혹하여 저대지 애걸하니 체면이 틀리었다. 우리야 만고절색 아니라 양귀비 서시라도 눈이나 떠 보게 되면 바색의 아들이다.”
방자놈 코웃음 하며 여짜오되.
“나리도 남의 말씀 수이 마압소서. 애랑의 은은한 태도와 연연한 안색을 보시면 오목 요(凹)자 움울 무더 게다가 세간사리를 하오리다.”
배비장 율기(律己-허황한 것)를 잔득 빼며 방자를 꾸짖는 말이,
“이놈 양반의 정체(政體)를 어찌 알고 경솔이 말을 하는다.”
“그러오면 황송하오되 소인과 내기 하옵시다.”
“무슨 내기를 하랴느냐?”
“나리께서 올라 가시시 전에 저기생에게 눈을 아니 뜨오시면 소인이 다솔식구(多率食口)가 댁에 가서 든안밥(밥만 얻어 먹으면서 남의 집에서 일하는 일꾼의 밥)을 먹삽고 만일 저 기생에게 반하오시면 타신 말을 소인 주기로 하십시다.”
배비장이 대답하되,
“그는 그리 하여라. 말 값이 천금 이로되 내기하고 너 소기랴.”
한참 이리할제 신관사또 구관사또 인교(印交)하고 새 사또 도임차로 들어 간다. 구름 같은 전후좌차(前後座次) 좌우청장(左右靑杖) 번듯 들고 호들거려 들어 갈제 삼현수(三絃手) 취타수(吹打手)며 전배 후배 사령군로(前陪後陪使令軍奴) 삼승섭수 노랑 홍의 남전대(藍纏帶) 눌러 띠고 인모전립(人毛戰笠) 우렁 삭모( 毛) 굴깃달어 날낼 용(勇)자 젓게 붙여 쓰고 곤장 주장(棍杖朱杖) 번듯 들고 쌍쌍이 늘어 서서 예이찌룩 좌우로 훤화(喧譁)할제 물색 좋은 청일산(靑日傘)에 세악성(細樂聲) 취타성(吹打聲)은 원근산천(遠近山川) 떠들럽게 이나노 나노 뚜따 쳐르르.
앵무같은 고은 기생 연영(年齡) 맞져 골라 뽑아 물색으로 단장하여 동문(東門) 안 대도상(大道上)으로 쌍쌍이 늘어서고 청도(淸道) 한쌍 순시(巡視) 두쌍 오색기치(五色旗幟) 찬란하고 전배비장(前陪裨將) 대단천익(大緞天翼) 광대(廣大)띠 순은장식 쇄금(純銀粧飾灑金)하여 가진 궁전(弓箭) 비끼 차고 저모립( 毛笠) 밀화패영(蜜花貝纓) 은입사(銀入 ) 맹호수(猛虎鬚)를 보기 좋게 꽂아 쓰고 공주면주(公州綿紬) 사마치를 가든하게 떨쳐 입고 은안백마(銀鞍白馬) 호피(虎皮)도돔 덩그렇고 높이 앉어 운종룡(雲從龍) 풍종호(風從虎)라. 승피백운선인(乘彼白雲仙人)들이이에서 더할소냐. 영무정(永舞亭) 바라보고 산지(山芝)내 얼핏 건너 북수각(北水閣) 지나 놓고 칠성(七星)골 너른 길로 관덕정(觀德亭) 돌아들제 권마성(勸馬聲)은 새득하고 취타성(吹打聲)은 동지(動地)로다. 인민들은 갈담하고 초목조차 굽히는듯.
전알전에 사배(賜杯)하고 만경루(萬景樓) 도림(到臨)할제 아희 남녀 노소 없이 신관사또 구경일다.
각방방임(各房房任) 대산군관(大傘軍官) 이노영(吏奴令)이 사또게 현신(現身)하고 임소(任所)로 각기 돌아오니 서천에 일락하고 동령(東嶺)에 달이 돋어 청풍명월 삼경야(淸風明月三更夜)에 태평기상(太平氣像)좋은 경이 금야(今夜)가 제일일듯.
모든 비장들이 여려 기생 차차 골라 다 정하고 방방이 청가단금(淸歌短琴) 곳곳이 상화(相和)하며 월야에 들리는 소리 듣기 좋고 처량하다. 이때 배비장(裵裨將)은 울음심사 한 가지로 놀고 싶으되 이미 정한 내기 장일언이 중천금이라 내 어찌 변할소냐. 남 노는것 비양하고 앉었을제, 여러 비장 동임(同任)들이 배비장을 권하여 전갈(傳喝)하되,
“방자야 네 예방(禮房) 나리께 가서 아까새(俄間-그 사이)문안 아옵고자 하옵니다. 하고 물색지지 이곳 와서 수심(愁心)하시니 우엔 일이오니까 하고 고향 생각 너무 마옵시고 차중 미색 골라 수청하옵고 사랑동포 정담하는 것이 장부소일(丈夫消日)이니 이제 돌아오시면 같이 놀겠삽나이다 하고 여쭈어라.”
방자놈 분부듣고 예방나리께 전갈 드린다.
배비장 전갈듣고 회답하되,
“먼저 물어 계시니 기 뚜거워 하옵니다. 하고 나리께서는 날과 동시 낙양 친구(同是洛陽親舊)로서 근본을 모르시니 애닯소이다 하고 우리는 본시 구대정남(九代貞男)이라 일정(一定) 잡마음은 없사오니 내말씀은 마시옵고 게서나 이목지소호(耳目之所好)와 심지지소락(心志之所樂)을 모두 다 하옵소서 하고 여쭈어라.” 하더니 무슨 급한 일이나 있는 듯이 방자를 펄적 부른다.
“이애 방자야-”
“예!”
“지금 기생 차지가 누군다.”
“행수(行首-기생을 말함)에 차질예로소이다.”
배비장이 차질예 불러 분부하되 네 만일 자금이후(自今以後)로 기생년들을 내 안전에 비취었다가는 엄곤(嚴棍)하리라 분부할제,
여차곡절(如此曲折)을 빗도가 잠간 들으시고 일등명기(一等名妓)를 다 부르신다. 기생을 부르되 안책(案冊) 들여 놓고 적구(摘句)하든 본새로 부르던 것이었다.
위성조우(渭城朝雨) 음경진( 輕塵)하니 객사청청(客舍靑靑) 유색이 사창에 비취었다. 섬섬영자(纖纖影子) 초월이 차문주가 하처재(借問酒家何處在)오 목동이요지(牧童遙指) 행화 사군불견(思君不見) 반월이 독자유황(獨者幽篁) 금선이 어주축수(魚舟逐水) 홍도 사시장춘(四時長春) 죽엽(絃樂器를 말함)이 얼굴이 곱다 화색이 태도곱다. 월하선이 줄풍류에 봉하운이 노태으뜸에 우월이 만당춘광(滿堂春光)에 홍연이 적하인간(謫下人間)에 강선이 봉내방장(蓬萊方丈)에 염주선이 색질기는 음덕이 흩은 서방에 탕진이 대방기생에 언란이 행수기생에 차질예 가무수작이 능란하다 제일색에 애랑이,
“예 등대(等待) 하였소.”
사또 분부하시되,
“너의 중에 배비장을 흠하게 하여 웃게 하는자 있으면 중상을 줄 것이니 그리할 기생이 있느냐.”
그 중에 애랑이 여짜오되,
“소녀가 불민하오나 사또 분부대로 거행할가 하나이다.”
빗도 이른말이,
“네 능히 배비장을 회절(毁節)시킬 재조가 있으면 제주 기생중에 인재가 있다 하리라.”
애랑이 여짜오되,
“시방 춘풍(時方春風) 좋은 때오니 빗도 명일 한라산 화류(漢拏山花柳)를 하옵시면 배비장을 안차흉계(按此凶計) 하오리다.”
사또 각방비장(各房裨將)과 의논하고 평명(平明)에 발령(發令)하여 한라산 화류갈제 사또행장 차린 위의(威儀) 볼작시면 용두(龍頭) 새김 주홍남여(朱紅藍輿) 호피(虎皮) 도듬 끼쳐타고 전월 부월(戰鉞斧鉞) 삼영집사(三營執事)순시영기(巡視令旗) 버려 꽂고 좌우로 헌화(喧 )할제 녹의 홍상 미색들은 백수 한삼(汗衫) 높이 들어 풍악(風樂)중에 노닐며 지야자자 하는 소리 만수화림(萬樹花林)중에 육각성(六角聲)을 섞이띠어 산명수응(山鳴水應) 잦았는데 이조명춘(以鳥鳴春)이라.
왼갖 새가 울음 운다. 후루룩 벅궁 꼬고약 꺽 푸드득 숙궁 솟적다 여그렁 비비죽 부러귀 가부락갑족 으흥 접동우는 것은 백화산 제백조(白花山諸百鳥)요. 벽게잔잔 호춘풍(碧溪潺潺好春風)에 얼클어지고 뒤틀어진 가지 잎잎이 뒤지기어 우줄 활활 굼이는 것은 장천녹림 수양지(長川綠林垂楊枝)요. 분류도화 황화수격(分流桃花黃河水格)으로 구비구비 휘휘돌쳐 우루렁 출정 풍풍 뒤질러 좌르를 컬컬 흐르는 것은 장천폭포(長川瀑布) 구곡수(九曲水)라. 청산녹주 돌아드니 만장봉래(萬丈蓬萊)가 여기로다.
사또 송하(松下)에 남여 놓고 경개(景槪)를 살펴보니 영주사면(瀛州四面) 푸른 물결 장천일색(長天一色) 둘레는데 쌍쌍백구 흘리 뜨고 점점어선(點點漁船)은 광하(廣河)에 돛을 달고 골골이 드나들제 청풍적벽(淸風赤壁) 소자첨(蘇子瞻)이 이 곳을 보았더면 적병강(赤壁江)에 어이 놀며 등왕각 악무중( 王閣樂舞中)에 왕발이 보았다던 낙하여고목제비(落霞與孤鶩濟飛)를 여기 와서 읊으리라. 산경수경(山景水景) 영주춘경 무한풍경(無限風景)이 좋을시고.
사또와 모든 비장이 명기색기 술을 부어 감홍로(甘紅露) 계당주(桂當酒) 취케먹고 춘흥겨워 노닐적에 배비장은 가하여 남 노는것 비양하고 글 지어 읊으되,
천장(天長)하니 한양은 노천리(露天里)요 해활(海 )하니 영주는 파만경(波萬頃)을 여화미인(如花美人)은 간초월(看楚越)이오 취롱강산 무한경(醉弄江山無限景)을,
이 때 배비장이 글을 읊으고 무료히 앉었다가 우연이 수포동(水布洞) 녹림간(綠林間)을 바라보니 양안도화(兩岸桃花) 어린 곳에 옥녀(玉女) 일색 일 미인이 어리락 백만교태(百萬嬌態)를 다 부리며 춘광(春光)을 희롱할제 백포장 녹림간(白布帳綠林間)으로 혹출혹입(惑出惑入) 혹좌혹립(惑座惑立) 연롱 한수 월롱사격(煙籠寒水月籠沙格)으로 이리 저리 노는 거동 월계화 명월궁(月桂花明月宮)에 월아선녀(月娥仙女) 거니는듯 양대운우(陽臺雲雨) 깊은 곳에 무산선녀(巫山仙女) 노니는듯 상하의복 활활 벗어 반석상(盤石上)에 올려 놓고 기러기 낙수상망격(落水相望格)으로 물에 풍덩 뛰어 들어 오는 거동 아미산(峨嵋山) 반륜추월(半輪秋月)이 평강수(平江水)에 잠겼는듯 둥굴둥굴 둥군 돌을 굴려 여산폭포(廬山瀑布)에 드리친 듯.
별유천지 무릉춘(別有天地武陵春)에 도화유수 묘연거격(桃花流水杳然去格)으로 물결 따라 나려가며 백구(白鷗)동동 반불침격(半不沈格)으로 이리 덤벙 저리 덤벙 울우렁 출렁 굽히는 것동 녹파담담(綠波淡淡) 저 연못에 세우(細雨) 뿌려 젖인 꽃이 구십춘광(九十春光) 때를 만나 부용화(芙蓉花)가 넘노는듯 왼가지로 교태(嬌態)한다.
맑은 믈 한 줌 옥수로 담숙 쥐어 분길 같은 양수를 칠팔월 가지 씻듯 보도독 씻어 보고 청계하엽(淸溪荷葉) 만발한데 푸른 연잎 뚝 떼어서 맑은 물 담숙 떠서 호치단순(晧齒丹脣) 물어다가 양치질도 솰솰하며 왁 토하여 뿜어도 보고 한 줌을 덤벅 쥐어 연적같은 젖퉁이도 씻어 보고 버들잎도 주루룩 훑어내려 석양풍에 펄펄날려 만수 잔잔 흐르는 물에 훨훨 띄워도 보고 홍홍난만(紅紅爛漫) 꽃도 따서 입에 담북 물어도 보고 꽃가지도 질근 꺾어 머리에도 꽂아 보고 물그림자 보고 솰솰 흩어 화용수 노는 고기 관어변(觀魚邊) 청계상에 은린옥척(銀鱗玉尺) 희롱하고 녹음방초청계변에 조약돌도 얼른 집어 양류상에 왕래하는 꾀꼬리를 아주 툭 처 날려도 보고 흑운 같이 채진 머리 솰솰 떨쳐 갈러내어 구룡도수 늙은 용이 물결뒤쳐 벽화춘천격으로 의후리쳐 틀어 두손으로 쥐는 양은 금봉차(金鳳 )가 좋을시고 꼬리 넓은 금붕어가 어변성료(魚變成龍)하랴 하고 벽파담담 물결 따라 구비구비 노니는듯 농춘파(弄春波)에 우루렁 출렁 모욕사는 저 거동 손도 씻고 발도 씻고 한창 이리 모욕할제 배비장이 그 거동 보고 어깨가 실룩 정신을 잃어 구대정남(九代貞男) 간데 없고 도리어 음남(淫男)이가 되어 눈을 모로 뜨고 숨을 도둑나무 하나 쫓긴 듯키 어깨춤에 호흡을 통치 못하여 혼자 이른 말이 뉘 여인인지 모르거니와 사람 여럿 구치었겠다 하며 그 여자 근본을 듣고 싶으되 묻도 못하고 헛 침만 모도와 생키며 아가니만 쓰고 무수히 자탄하되 차산(此山)의 좋은 경개 오늘날 모도 보고 비조투림(飛鳥投林)하여 잘새는 날러 들고 어촌낙조(漁村落照)는 석양(夕陽)이 거의로다.
사또 남여(藍輿) 타고 환관(還官)하랴 하고 선배(先陪)를 재촉한다. 여러 비장과 기생 하인들도 일제히 회정(回程)할제 배비장은 뒤처질 마음 두고 꾀병으로 배앓는다.
여러 비장 동임(同任)들이 기수채고 하는 말이 발생 혹하였구나 수군거리며 곁인사로 위로한다.
“예방(禮房)께서는 급곽란인가 싶으니 침이나 한대 맞으시요.”
“아니오. 침맞을 병 아니오 진정하면 낫겠소.”
여러 비장들이 웃음을 참고 방자를 불러 이른 말의 너의 나리 병환이 본병환이라 하시니 진정하여 잘 보시고 오너라 귀속하고 또 배비장더러 하는 말이,
“이대로 사또께 잘 여쭐 것이니 마음 놓고 진정하여 오시오.”
“등관께서 이처럼 염려하시니 감사하거니와 사또께 미안치 아니하도록 잘 여쭈어 주시기를 바라오 애고배야.”
그중에 동관 하나이 지꿎기가 짝이 없는지라 배비장 성화를 시키려고 수작한다.
“글랑은 염려 마시오 사또께서도 등관께서 이런 때 없는 병이 있는 줄 짐작하시는 갑디다. 들으니 이런 배앓는데는 기집의 손으로 문지르는 것이 당약이라 하니 기생 한년을 두고 갈 것이니 잘 문질러 보시오.”
“아니오 내 배는 다른 이와 달라서 기생을 보기만 하여도 더 아프니 그런 말씀은 내 귀에 다시 마오 애고 배야”
“그배 이상한 배요. 기집 말만 하여도 더 앓소그려 우리가 동시낙양지인(同是洛陽之人)으로 천리 밖에 와서 정의가 형제같은 터에 저처럼 고통하는 것을 혼자 두고 갈 수 있소 진정되거든 같이 갈밖에 없소.”
“에소 동관께서는 내 성미를 모르시는 가뵈다. 나는 병이 나면 혼자 진정을 해야 속히 낫지 만 형제간이라도 같이 있으면 낫기는 새로이 더 아프니 사람을 살리랴거든 제발덕분 어서 가시오 애고배야 애고배야 죽겠소.”
“그러시면 갈 수 밖에 없으니 혼자 갔다 무정터라 하지마시오.”
하고 사또 모시고 환관(還官)할제 배비장은 그 여인 볼랴 급한 마음에 배앓으며 방자를 부른다.
“방자야 애고배야.”
“예-.”
“이 애야 나는 여기를 오더니 취안이 몽롱하여 지척을 못보겠다 애고배야.”
“소인도 나리께서 애쓰는 것을 뵈오니 정신이 없읍니다.”
“우리 사또 가시는데 자세히 보와라.”
“중대(中臺)에 나려 가시오.”
“애고 배야 또 보와라.”
“산 모퉁이 지나었소.”
“애고 배야 또 보와라.”
“수불상견(樹不相見)에 가리었소.”
“산회노전(山回路轉)에 불견군(不見君)이라 내배 그만아프다.”
목욕하는 저 여자를 보랴 하고 계변화초(溪邊花草) 좁은 길로 몸을 숨겨 가만가만 섭분서며 가는 소리로 방자를 부르자 방자도 그대로 대답하나 말공대는 점점 없어졌다.
“예 우에 부르우?”
“너 저 거동 좀 보와라.”
“그 무엇 있소?”
“이 애야 요란히 구지 마라 조용히 구경 하자.”
물에 놀고 산에 놀고 백만교태(百萬嬌態)를 다 부리어 노는 거동 금(금)도 같고 옥도 같다.
“금이냐 옥이냐.”
“저물이 여수(濾水) 아니어던 금이 어이 노오리까.”
“그러면 옥이냐.”
“이곳이 형산(刑山) 아니어든 옥이 어이 있으리까.”
“금옥 아니면 꽃이냐 방춘기망(芳春欺罔) 매화냐.”
“동각설중(東閣雪中) 아니어던 매화 어찌 피오리까.”
“매화 아니면 도화냐.”
“무릉춘풍(武陵春風) 아니어던 도화어찌 피오리까.”
“도화 아니면 해당화냐.”
“십리명사 아니어던 해당화 어찌 피오리까.”
“그러면 황국단풍(黃菊丹楓) 국화냐.”
“구일용산(九日龍山) 아니어던 황화(黃化) 어이 피오리까.”
“꽃 아니면 용녀 선녀 귀비 월서시냐.”
“오호청풍(五湖淸風) 아니어던 월서시 어이 오며 온천수 아니어던 귀비 모욕 어이 할가.”
“서시 귀비 제 아니면 입안혼비(入眼魂迷) 불여호냐 여오 아니라 악호(惡狐)라도 사생결단 혹하겠다. 애고 애고 날죽인다.”
“나리 무엇을 보고 저대지미치십니까. 소인의 눈에는 아모곳도 아니 보입니다.”
“이 놈아 저기 저기 저 건너 백포장 속에 목욕하는 저것을 못본단 말이야.”
“예 나는 나리께서 무엇을 보시고 그러 하시나 하였지요.”
"옳소이다. 저 건너 목욕하는 여인 말씀이오니까."
"옳다 보았던 말이냐 쌍놈의 눈이라 양반의 눈보단 대단히 무디구나."
예 눈은 반상이 다르니까 소인의 눈이 나리눈보담 무디어 저런 비례의 것이 아니 뵈옵니다마는 마음도 반상이 달러 나리 마음은 소인보담 컴컴하고 음탐(淫貪)하여 남녀유별 체면도 모르고 규중처년 은근히 목욕하는 것을 욕심내어 눈을 쏘와 구경한단 말씀이오니까. 근래 서울 양반 자세(藉勢)하고 기집이라면 체면없이 옥심낼데 이니낼데 분간 없이 함부로 덤벙이다 봉변도 많이 당합니다. 유부가인(有夫佳人) 약수에 모욕하면 허물없이 일가 친척 은근히 물었다가 무례한 타인남자 버릇없는 눈치알고 일시에 냅다 치면 꼼짝없이 보리만 탈 것이니 저여자를 블생각 생의(生意)도 마오."
배비장 방자한테 무안 보고 하는 말이,
"다시는 아니 본다. 그러나 그것을 보면 정신이 갈리어 아무리 아니 보랴 하여도 지남석(指南石)에 날바늘 케이듯 눈이 가끔 그리로만 간다."
방자 보다가,
"저 눈."
배비장이,
"나 아니본다."
하면서도 그 여인에게로만 눈이 가는지라 잠시 꾀를 내어 방자를 불러,
"방자야 저 경(景) 좋다 서으로 살펴 보아라 부상삼백척(扶桑三百尺)에 불 같은 일모경(日暮景)이 그아니냐. 등으로 또 보아라 약수삼천리(弱水三千里)에 춘색이 묘연(杳然)한데 일쌍천조(一雙靑鳥)가 날어든다. 남으로 또 보아라 대해망망천리파(大海茫茫千里波)에 대붕(大鵬)이 비진(飛盡)하여 수여남(水如藍)에 푸른 물결 요식봉강( 飾峯崗) 둘려 있다. 북으로 또 와라 청천삭출 금부용(靑天削出 金芙蓉0이요 진북명산(鎭北名山)이 저기로다. 중앙을 쳐다 보아라 백로(白鷺) 탄 여동빈(呂洞賓)고래 탄 이적선(李謫仙) 기경비상천(騎鯨飛上天)하는구나."
방자 거짓 속는체 하고 가르치는 데로 살펴 보니 배비장은 그동안 여인 볼제 방자 보다.
"저 눈 일낼 눈이로구."
배비장이 깜짝 놀라 두 손으로 눈을 가리며,
"나 안본다 염려마라."
한참 이리 할제 방자 뜻 밖에 기침 한번 칵하니 저 여인이 놀라는체 하고 몸을 옴족 소시러쳐 문 밖으로 뛰어 나와 속것 치마 금척 안고 백포장 녹림간으로 얼른 뛰어드는 양은 삼오야 밟은 달이 구름 속에 들어 간듯 배비장게만 보다가 눈이 컴컴 으안이 벙벙 정신잃고 앉었다가 하는 말이,
"이놈 네 기침 한번 낭패로다."
이처럼 자탄하다가,
"이애 방자야."
"예-"
"네 저 백포장 밖에 가서 문안 한번 드리고 그 여인께 전갈(傳喝)하되 차산과객(此山過客)이 화류등림(花遊登臨)타가 행역에 노곤하고 기갈(飢渴)이 자심하니 혹 음식 있거던 기한(飢寒)을 면하게 구급(求急)을 시기압기천만 바라옵나이다 하고 여쭈어라."
방자놈 여짜오되,
"나는 죽으면 죽었지 그 전갈 못 가겠소. 부지초면에 전갈하고 남의 여자에게 음식 달라 다가는 난장박살(亂杖撲殺) 탕국에 어열밥 말아먹기 쉽겠소."
배비장 무료(無聊)하여 하는 말이,
"이애 방자야 만일 마질 지경이면 매는 내 마질 것이니 너는 들어 내빼라머나."
방자놈 하는 말이,
"나리 정경을 보오니 몽치 바람에 죽는대로 그리할 수 밖에 없소."
하고 설렁설렁 가만가만 건너 가서 헷절 한번 하고,
"쉬 애랑아 배비장이 발서 네게 혹하였으니 무슨 음식 있거든 좀 차려다구."
애랑이 웃고 음식 차릴제 산증귀물로 정갈하게 차리겠다. 대모(玳瑁) 쟁반 금채화기(金彩花器) 버려놓고 빛 좋은 청유백분 두견화전(杜鵑花煎) 한 접시 소담하게 담어 놓고 붉은 홍시 홍산백산 버려 놓고 등정주파 맑은 술 자라병에 가득 넣어 옥수르 내어 주며 이른 말이,
"너의 나리 무례하나 기갈이 자심타기 이 음식 보내오니 그도 먹고 너도 먹고 양인대작 산화개(兩人對酌 山花開)라 일배일배 부일배(一盃一盃 復一盃)에 양인이 포식한후 그곳 잠시 있지 말고 군자는 견기이작(君子見機而作)이라 하니 속거 속거(速去速去)하라 미구에 대탈 날라."
그 사연하고 음식 올리니 배비장이 질수구나 하고 음식 받아 앞에 놓고 칭찬하여 가로되,
"곁불안이라 하니 내 이러할 줄은 알었거니와 저 감에 이발 자옥이 우웬 것이니."
방자놈 여짜오되,
"그 여인이 감꼭지를 이로 물어 빼옵니다."
배비장 탈기(奪氣)하여 껄껄 웃으며,
"이 음식 너 다 먹어라 나는 감 하나만 먹겠다."
방자놈이 지꿎이 감을 짚으며 하는 말이,
"잇발 자옥 난 것이라 그 여인의 침이 묻어 더러우니 소인이나 먹겠소."
"이놈 기맥힌 소리 말어라 이리다구."
빼서 껍질채 감식(甘食)후에 그 여인께 답 전갈하되,
"이같은 좋은 음식을 보내셔서 잘 먹었읍니다. 하고 또 무례하온 말씀이오나 천생양(天生陽)하고 지생음(地生陰)하니 음양배합(陰陽配合)은 인개유지(人皆有之)라 방탕한 화류객이 홀등차산(忽登此山)하여 탐화봉점(探花蜂점)의 마을을 지지우지지(知之又知之) 하옵소서 하고 여쭈어라."
방자가 다녀와서 하는 말이,
"그 여인이 답례불청(答禮不廳)하고 큰탈날 것이니 속거속거하라 하옵디다."
배비장이 무료하여 탄식하며 하릴 없다 나려 가자 침소로 돌아와서 주소(晝宵) 생각이 그 여인을 못잊어 신음상사(呻吟想思) 하는 말이,
"한라산(漢拏山) 맑은 정기를 제가 모도 타고 나서 그리고이 생겼는고 못잊어서 한이로다. 동방(洞房)이 적막한데 임 생각 그지 없다. 춘풍에 우는 새는 회포를 머금은 듯 정제(庭際)에 푸른 풀은 별루(別淚)를 뿌리는 듯 신음상사 병이 골수에 깊이 들어 청춘원혼(靑春寃魂)되겠으니 북당(北堂)에 학발양친(鶴髮兩親) 춘규(春奎)에 홍안처자(紅顔妻子) 다시 보기 어려워라. 애고애고 이 일을 어찌 할고."
이처럼 애절하다 에라 죽더라도 한번하여 보고 죽으리라 결심하고 방자 불러 간청한다.
"이애 방자야."
"예 부르셨읍니까."
"이애 이리 좀 오너라 나는 또 죽을 병이 들었구나."
"무슨 병환이 드셨기에 그처럼 신음하십니까 패독산(敗毒散)이나 모두 굴러 두어첩 잡수어 보시오구려."
"아닐다 패독산 먹을 병 아닐다."
"그러면 망령 병환이 드셨나보외다그려. 망령병에는 당약이 있읍지요."
"무슨 약이란 말이냐."
"젊은 양반 망령에는 홍두깨를 삶어 먹는 것이 당약이라 하옵니다."
"아닐다 내병에는 약이 있다마는 얻기가 좀 어렵구나."
"그 무슨 약이기에 그처럼 어렵단 말씀이오니까. 하늘의 별도 따는데요."
"이애 그말만 들어도 속이 시원하다. 그러면 내가 살고 죽기는 네손에 달렸으니 날좀 살려다구."
"아따 이거는 누가 죽이오 어서 말씀이나 하시오구려."
"이애 너는 아다싶이 작일 한라산(漢拏山) 수포동(水布洞) 녹림간에 목욕하든 여인보고 자연병이 되어 죽을지경이로구나 그 여자좀 보게 하여 주려무나."
"팔결이오. 그 여자 규중에 내외가 깊었으니 만나 볼길 전여 없소."
배비장 무료하여 하는 말이 하릴없다. 고담(古談)이나 얻어 오너라 하더니 할일없이 남원부사 자제 이도령이 춘향 생각하며 글 읽듯 하는가 보더라.
삼국지, 구운몽, 경업전(慶業傳) 다 후리쳐버리고 숙향전(淑香傳) 내어 놓고 보와 갈제 <숙향아 숙향아 불상하다 그 모친이 이별할제 아가 아가 잘 있거라 애고 어머니 나도 가세> 아서라 다 던지고 녹림간(綠林間) 수포동(水布洞)에 목욕하던 그 여자 가는 허리를 담숙 안고 놀아볼가.
방자놈이 옆에 있다 하는 말이,
"나는 그게 숙향전으로 알았더니 상푸동 수포동전이 오구려."
"배비장 하는 말이 가끔 말이 그리로만 간다하며,
"이애 방자야 너와 나와 종요지담으로 말하자 그 여자가 음식 차려보낸 것을 보니 궐녀도 내게 불무심(不無心)이라 혹시 일이 되어도 언급이나 하여보자."
"엇다가 언급을 하여 보와요."
"그 여인에게."
"어림 없소. 그 여인 성정이 악남(惡男)이요 절개(節介)가 도구하니 그런 생의는 부대 마오."
배비장이 방자를 잡고,
"되나 못되나 편지 써 줄 것이니 일만 되면 구전 삼백양을 상금으로 너를 주마."
방자놈 구전 주마는 말을 듣고 관문 속에서 졸업한 놈이라 돈양이나 얻을 생각으로 질그시 미대는 수작으로 나온다.
"소인은 그 편지 못가지고 가겠읍니다."
"이애 그게 무슨 말이냐 내가 천리 밖에 와서 통정하고 지내는 하인이 너밖에 또 누가 있느냐."
"예 소인이 나리께 정리로 말하면 수화라도 모피(謨避)를 아니 하을 마음이오나 그렇지 못할 사정이 있읍니다."
"응 무슨 사정이란 말이냐."
"소인이 세살에 아비는 죽삽고 늙은 어미게 길러나 열살부텀 방자 구실을 하니 한달에 관가에서 주시는 것이라고는 돈 두냥뿐이오니 가진 심부림에 신발 값이나 되옵니까. 먹기는 각장 나림님네 진지대궁이나 얻어서 어미와 연명하는 터이 올시다. 소인 사정 이러하오니 사불여 의하여 소인 죽고 사는 것은 원통치 아니하오나 병신되어 나리도 모실 수 없삽고 늙은 어미를 얻어 먹일 수 있읍니까 생각을 하온즉 그런 위태한 거동 못하겠삽나이다."
"그량은 염려마라 만일 매를 마질 지경이면 너 낫도록 하여 줄 것이오. 너 늙은 어미는 내가 먹여 살릴 것이니 염려마라."
하며 궤문을 열더니 돈 백냥을 내어 주며 하는 말이,
"이것이 약소하나 네 어미 갖다 주어 양식이나 팔아 먹으라."
하고 지성으로 간청을 한다. 방자 못이기는 체 하고 여짜오되,
"그러면 편지나 잘 써 내시오."
배비장이 대회하여 편지 써서 방자 주며 백번이나 당부하여 이른 말이,
"일이 되고 안되기는 네 수단에 달렸으니 부대 눈치 있게 잘 드려라."
방자 편지 갖다 애랑 주니 그 서사 첫 비두에 하였으되,
제막(濟幕) 걸덕쇠(乞德釗)는 돈수재배(頓首再拜)하옵고, 공감일봉서(恐敢一封書)를 낭자(娘子)전에 부치나니 슬프다 이내 몸이 호탐자로 공명불성(功名不成)하여 영주도(瀛州島) 수천리에 남의 편비(扁裨)되어 와서 물새에 뜻이 없고 기암절승(奇岩絶勝)을 안하(眼下)에 희롱하더니 작일등유(昨日登遊)하여 한라산 화전(花煎)놀이 하고 녹림간 회로(回路)중에 옥안을 잠간 보고 입안혼미(入眼魂迷) 돌아 와서 욕망(慾忘)이 난망(難忘)이요 불사(不思)이 자사(自思)로다 식불감미(食不甘味)하고 와불면(訛不眠)하여 골수에 병이드니 장탄식(長嘆息) 단장성(斷腸聲)은 탁문군(卓文君)의 회심사(懷心思)라. 낭자화개신(娘子花開身)도 매일장춘(每日長春) 젊었을까 부득장춘(不得長春) 절로 늙어 홍안이 백수(白首)되면 시호시호(時乎時乎) 부재래(不再來)라 다시 젊기 어려워라. 상사고(想思苦)에 깊이 든병 신농씨(神農氏) 백초약(百草藥)이 무령(無靈)토다. 수절고행(守節高行) 부질없고 활인적덕(活人積德) 으뜸이니 장부생사(丈夫生死)는 재낭자(在娘子)하고 낭자허신은 재일언(在一言)이니 일언으로 결장부생사(決丈夫生死)하소서. 만단비회(萬端悲懷)를 일필난기(一筆難記)로다 총망중 잠적사오니 세세참상(細細參商) 있은 후 답장하옵기를 복결 갱복걸(更伏乞)이라. 하였더라. 방자 애랑다려 이른 말이 이애 답장을 하되 너무 허수이 말고 진드기 좀 캐어 하여라.
애랑의 답장을 맡어다 주니 배비장이 편지를 두손으로 받아 대학지도(大學之道)나 읽는 듯키 잔득 꿇어 앉어 무수이 진퇴를 하다가 보니 그 사연에 하였으되,
애중첩신(哀中妾身)은 답서일편(答書一片)을 제막탑하(濟幕榻下)에 부치나니 불면부지중(不面不知中)에 서사(書飼) 상통이 오활(汚 )토다. 욕망난망(慾忘難忘)이 괴이(怪異)하고 불사이자사(不思而自思)가 가소롭다. 병환(病患)을 모르거든 신병소약(身病所藥) 내웨 알며 보신탕(補身湯)을 내 아던가. 탁문군(卓文君)을 희롱하니 미친 호걸 또 있던가. 군자는 인신(人臣)으로 옛글을 모르시오 사군충(事君忠)과 종부지절(從夫之節)은 천지지상경(天地之常經)이요. 고금지통의(古今之痛義)어늘 남의 정절 앗으랴하니 충절유무(忠節有無)를 어차가지(於此可知)로다. 또한 유부녀 뜻한 일은 절통구박(切痛 泊)에 사연이 무궁오활(無窮汚 )토다. 미친 인사는 취심 퇴거(退去)하라.
배비장이 보와 가다가 퇴(退)자에 깜짝 놀라 대사거의(大事去矣)로다 다 보와 무엇 하리 애고 이 일을 어찌 할꼬 도중원혼(島中寃魂)되겠구나. 방자 곁에 섰다가 여보 나리 실심 마시고 그 아래를 보셨오 연(然)자가 있소구려 배비장이 다시 보와가다가 옳다 연(然)자의 뜻 알었다.
연(然)이나 연이나 장부후신(丈夫厚身)으로 유아이득병(自我而得病)라 하니 기의가긍(其意可矜)이라. 나는 규중첩신(閨中妾身)으로 출입을 임불(任不)하니 상봉이 극난이라 월락심야(月落深夜)에 벽헌당(碧軒當)을 찾어와서 은근히 내입즉 여군동침(來入則與君同枕) 하려니와 약실차처(若失此處)면 기실생사(其失生死) 위혜(危兮)로다. 만일 오실터면 가내 번거하고 계견(鷄犬)이 다다(多多)하니 북창(北窓) 현틈으로 연보유경(軟步猶輕)하여 신지(愼之)하라.
하였더라.
좋을시고 쾌병하다. 강호에 병이 들어 덧없이 죽겠더니 낭자 회답이 반갑도다. 삼경에 기약 고두 해 지기만 바라더니 석양이 다 져간다.
방자 입시(入侍) 보내고 빙방 안에 문을 닫고 그 여자에게 잘 뵈일려고 다시 의관(衣冠)을 차릴적에 외을 망건(網巾) 정주당건(定州당巾) 쾌자(快子) 전립(氈笠) 광대띠에 폐동개를 제법하고 빈 방안에 혼자 우뚝 서서 독개비 들린 듯이 혼자 말로 두런거리며 습의(習儀)하고 하는 말이,
"가만가만 걸어가서 여자 문전에 들어 서며 기침 한번을 가마니 하면 그 여인이 기수채고 문을 펄적 열었다. 걸음을 한번 대학지도(大學之道)로 이리 걸어 들어가 수인사(修人事) 후에 대천명(待天命)이라 하니 여자에게 한번 이리 군례(軍禮)로 뵈렸다."
한창 이리 습의(習儀)할제 방자놈이 뜻 밖에 문을 펄적 열며,
"나리 무엇하오."
배비장이 깜짝 놀라,
"너 벌써 왔느냐."
"예 군례(軍禮) 전에 대령하였소."
"이놈 내 깜짝 놀라 바로 땀이 난다."
하며 폐동개 한 채로 썩 나서니 오제산월락(烏啼山月落)하고 어화수(漁火水)에 불 비친다 전계(前溪)에 인귀(人歸)하고 춘풍에 학이 운다. 전 기약 맺인 낭자 차야(此夜) 중에 어서 가자 거들거려 갈제 방자놈 이른 말이,
"나리 소견 바이 없소. 밤중에 유부녀 통간(通姦)가오면서 금의야행(錦衣夜行)으로 저리하고 가다가는 될 일도 못 될 것이니 그 의관 다 벗으시오."
"벗기는 초라쿠나."
"초라커든 가지 마옵시다."
"이 애야 요란이 구지마라 내 벗으마."
활짝 벗고 알몸으로 서서 어떠하니,
"그것이 원 좋소마는 누구 보면 한라산 매 산양군으로 알겠소. 제주인물 복색으로 차리시오."
"제주인물 복색은 어떤 것이냐."
"개가죽 두루맥이에 노펑거지를 쓰시오."
"그것은 과히 초라쿠나."
"초라커든 그만 두시오."
"그러하단 말릴다 개가죽 아니라 도야지 가죽이라도 내 입으마."
하더니 구록피(狗鹿皮) 두루마기에 노펑거지를 쓰고 나서서 앞뒤를 살펴 보며,
"이애야 범 보면 개로 알겠다. 군기총 하나만 내어 들고 가자."
"무섭거든 가지 마옵시다."
"이애야 그러 하단 말릴다. 네 성정 그러 한줄 몰랐구나 정 못갈터이면 내 업고라도 가마."
배비장 뒤를 따라 가며 하는 말이 기약둔 사랑여자 어서 가 반기 보자 서입죽창(西入竹窓)돌아 들어 동편송계(東便松階) 다달으니 북창에 밝게 켠 불 고등(孤燈)은 일점이요. 야색은 삼경이라. 높은 담 궁글 찾아 가서 방자 먼저 기어들며,
"쉬 나리 잘못하다가는 일 날 것이니 두발을 한데 모아 묘리있게 드리 미시오."
배비장이 방자 말을 옳게 듣고 두 발을 모와 드리미니 방자놈이 안에서 배비장의 두 발목을 모아 쥐고 힘끝 잡아 다리니 부른 배가 딱 걸려서 들도 나도 아니하는지라 배비장 두눈을 희게 뜨고 이를 갈며 좀 놓아 다고 하면서 죽어도 문자는 쓰던 것이었다.
"포복불입( 腹不入)하니 출분이기사(出糞而幾死)로다."
방자 안에서 웃으며 탁 놓으니 배비장이 곤두박질하여 일어 앉으며 하는 말이,
"매사(每事)가 순리로 아니 되니 대패로다. 산모의 해산(解産)법으로 말하여도 아해를 머리부터 낳아야 순산이라 하니 내 상투를 드리 밀것이니 잘 잡아다려라."
방자놈이 배비장 상토를 노펑거지 쓴 채 왈칵 잡아다리니 아무리 하여도 나은 줄 모르겠다. 사지부생(死地復生)이라 원명(元命)이 재천(在天)이로다. 뻥하고 들어가니 배비장이 아프단 말도 못하고,
"어허 아마도 내등에 꼰질곤자 판을 노왔나 보다."
그리 할제 방자 여짜오되,
"불켠 저 방으로 들어가서 욕심대로 얼른 잠간하고 날새기전에 나오셔요."
하고 은신하여 엿본다.
배비장이 일변 좋기도 하고 일변 조심도 되어 가만가만 자취없이 들어가서 이리 기웃 저리 기웃 문앞에 가서 삽분삽분 손고락에 침을 발라 문궁글 배비작배비작 뚫고 일목으로 견지(見之)하니, 삼경(三更) 둥화(燈火)에 앉인 저 여인 연자이팔(年자二八) 고은 태도 썬블 등화 밝다 한들 너를 보니 어두운듯 피는도화 곱다 하되 너를 보니 무색한듯 저여인 거동보소 김해간죽(金海簡竹) 백통대관(白銅대管)에 삼등초(三登草)를 섭분 담아 청동화로(靑銅火爐) 백탄(白炭) 불에 삽분 길러 빨아 내니 향기로운 담배내가 일조 향등생자연(一條香登生紫烟)의 붉은 안개 피어 돋듯 일전이 점점 풍기어서 창궁그로 돌아나오니 그 담배를 손으로 웅키고 먹다가 생 담배가 코궁그로 들어 가서 재치기 한번을 악칵 하니 저 여인이 놀라는체 하고 문을 펄적 열떠리고,
"도적이야."
소리 하니 배비장이 겁결에,
"문안 드리오."
저 여인이 보다가 하는 말이,
"화호불성(畵虎不成)이로고 아마도 뉘 집 미친 개가 길 잘못 들어 왔나보다."
전반으로 한번 직근 치니 배비장 하는 말이,
"나 개 아니오."
"그러면 무엇이니."
" 배 걸덕쇠요."
저 기집 웃고 나서며 이 밤 기약의 님이 왔네. 손목 잡고 들어가며 자리하고 불을 끄세.
방자놈이 언성을 변하여 고함하고 들어가며,
"불 켜놓고 문 열어라. 황문보량은 내 막으마."
소리하니 저 여인 놀라는체 일신을 뜰며 황황할제 방자놈 언성 높여,
"요기롭고 고이한 년 내몸 하나 옴족하면 문 앞에 신 네짝 떠날 날이 없으니 어느 놈과 둘이 미쳐서 두런두런 하느냐. 이 연놈을 한주먹에 쇄골박살(碎骨樸殺) 하리라."
장담하고 들어보니 배비장 혼겁하여 황황하나 외문집이라 도망할 수 바이 없어 알몸으로 이불 쓰고 여자더러 이른 말이 죽어도 문자는 쓰던 것이었다.
"야장과반(夜將過半)에 내호개문(來呼開門)하니 호령자(號令者)는 수야(誰也)오."
저 여인 답하되,
"오가출두천(吾家出頭天)이요."
"그게 본부랑군(本夫郞君)이오. 성품이 어떠한고."
"성정은 제일 악남(惡男)으로 미련하기는 도척(盜 )이요 기운은 하우 같고 술즐기고 새암 발러 제 미음에 홰를 내면 백주발검(白晝拔劒) 칼 쓰기를 홍문연(鴻門宴) 번쾌( ) 방패 쓰듯 상산 조자룡(常山趙子龍) 장창(長창)쓰듯 공중용검 휙 지르면 맹호(猛虎)라도 쇠골(碎骨)하고 철벽이라도 뚜러지니 그대말고 옛날 장비(長飛) 복판 떼는 범강장달(范江張達)이라도 살어 보기는 틀렸으니 불상한 그대 목숨 날로 하여 죽게 되니 내가 죽고 살릴터면 그 아니 살려 줄가."
배비장 애걸하며 이른 말이,
"옛날 진궁여(秦宮女)는 형가(荊軻)의 큰 주먹에 소매 잡혀 죽을 진왕(秦王) 탄금(彈琴)하여 살렸으니 낭자도 의사 내어 날 살리게 제발 덕분 날 살리게."
저 기집 흉게 꾸며 큰 자루는 언제 하여 두었던지 가로 아구리를 벌리며,
"여게나 드시오."
"그기는 왜 들어 가라오."
"그리 들어 가면 자연 살 도리가 있으니 어서 바삐 드시오."
배비장이 절에 간 새약씨 모양이라 반색 못하고 들어 가니 그 게집이 배비장에 자루에 담은 후 자루끝을 모두아 상토에 가마매어 등잔뒤 방구석에 세워 놓고 불 켜노니, 저놈이 왈칵 문을 열며 섭분 들어서 사면을 돌데 보더니,
"저 방구석에 세워 둔것이 무엇이냐."
"그것은 알어 무얼 할라오."
"이년아 내가 들으면 대답을 할 것이지 반색이 무엇이냐 주리박맹이 맛을 보고 싶어서."
"골을 내어 거문고에 새줄 달어 세웠십네."
저놈이 눙치는체 하고,
"응 거문고여 그러면 좀 쳐보세."
하며 대꼭지로 배부른 통을 탁 치니 배비장이 질색하여 아프기 측량 없으되 참거문고인체 하고 자루 속에서,
"둥덩 둥덩"
"그 거문고 소래 장이 웅장하고 좋다 대현(大絃)을 쳤으니 소현(小絃) 또 쳐 보리라."
칩다 코를 탁 치니 둥덩 지덩
그 거문고 이상하다 아래를 쳐도 위에서 소리가 나고 위를 쳐도 위에서 소리가 나니 괴상하다.
저기집 대답하되,
"무식한 말하지도 마오 옛적 여화씨(女嬅氏)적에 생황오음육율(笙簧五音六律)을 내실적에 궁상각치우(宮商角 羽)를 청탁(淸濁)으로 울링오니 상청음(上淸音)도 화답(和答)이랍네."
이 놈이 옳게 듣는 듯이,
"네 말이 당연하다. 세사(世事)는 금삼척(琴三尺)이오. 생애는 주일배(酒一杯)라 사정강상월(射亭江上月)이요. 동각설중매(東閣雪中梅)라 술 한잔 날권하고 줄 골려라 오늘밤에 놀아보자 내 솔피하고 들어오마."
하고 문 밖에 나와 서서 기척없이 귀를 기우리고 엿듣는다.
배비장 자루 속에서 가만한 소리로 하는 말이,
"여보오 궐자(厥者)가 거문고를 좋아하는 수가 분명 내어 볼듯하니 다른 대로 나 이사좀 시켜주오."
저 여인 거동보소 우묵에 놓이 피나무 궤를 열고,
"예나 바삐 드시오."
배비장 궤를 보고 문자는 놓치 아니하고 쓰던 것이었다.
"체대궤소(體大 小)하니 하이은신(何以隱身)고."
저계집 하는 말이,
"그 궤가 밖으로 보기는 적사오나 속이 널러 은식(隱息)할만 하니 잔말 말고 바삐 드시오."
배비장 하릴없이 궤문 열고 두눈 감고 들어 가니 굽도 접도 못하여서 몸을 곱송거리고 생각하니 한심하고 설운지고 이놈의 흉게를 어찌 알리. 날 같은 호색남자 궤중에 고혼(孤渾)되기로 누구를 원망하리 저여인 궤문 닫고 쇠 채우니 함정에 든 범이요 우물에 든 고기로다. 답답 궤중 어찌 살리 이렇듯 자탄할 제 저놈이 다시 들어 오며 하는 말이,
"아무 것도 홍황없다. 내 아까 눈이 절로 소로로 감기면서 꿈을 꾸니 백수노인(白鬚老人)이 나를 불러 이르되 네 집의 거문고와 피나무궤가 있느냐 하시기로 내 말이 있노라 한즉 그 노인 가로되 금신(金神)이 혈입궤중(穴入 中)하여 무수작란(無數作亂)하니 그 궤가 유즉여가망(有則汝家亡)이요 무즉여가흥(無則汝家興)이라 역역히 현몽(現夢)하니 저 궤를 불어 소화(燒火)하리라 짚 한동 갖다 불 놓아라."
이때 궤 속에서 배비장 그말 듣고 탄식하되 인제는 바로 화장한다. 이 일을 어찌 할고 저 게집도 악을 쓰며 하는 말이,
"조상에서 전래하연 기물이라 소중한 저 궤 속에 업귀신(業鬼神)들어 있어 우리집 여러 식구 먹고 입고 씨고 남게 하는 업궤(業 )을 세 불살으던 못하오리."
이 놈이 화를 내어 하는 말이,
네 행실 저러하니 너 다리고 못 살겠다. 가장집물(家藏什物) 귀치 않고 절색 소첩(絶色 小妾)너도 싫다. 업궤(業 )하나 가졌으면 내 어디 가서 못 살소냐."
하더니 그 궤를 걸머지고 나서면서 이른 말이,
"이년 본부구정(本夫舊情) 날 바리고 간부신정(間夫新情) 네 취하나 가대(家垈)차지 잘 살어라."
저 여인 궤를 붙들며 하는 말이,
"업궤는 임자가 가져가면 나는 패가(廢家)하라는가 이궤는 못놓겠네. 가대차지 임자가 하고 업궤란 나를 주소."
저놈이 하는 말이,
"그럴테면 양편이 가난치 않게 이 업궤 한가운데 먹줄 맞쳐 갈러 내어 한도막식 가졌으면 그아니 평균할가 톱대어라 갈라보자."
하더니 대톱 드려 마조 잡고 다리어라 톱질이야 실근실근 디리어리 행실부정 몹쓸 년을 내 모르고 두었더니 오늘이야 알았구나. 월로결승(月老結繩) 처음 연분이 톱으로 잘 켜보자 이 궤를 갈러 내어 웃도막은 너를 주고 아래도 막 내가 지면 나는 소부(小副)되고 너는 대부(大副)되어 분복(分福)대로 각기 살자 이톱 바삐 다리어라 좔으를 점점 나려 가니, 배비장 궤 속에서 어뿔사 벌써 톱밥이 드는데 인제는 바로 요참(腰斬)한다. 겁결에,
"여보소 미련하오 하로밤을 자도 만리성을 쌓는다는데 살든 게집 그궤 모두 주오. 도막 짤으면 반실 아니되오."
이놈이 톱 내던지고 하는 말이,
"아뿔사 업궤신(業 神)이 도생(倒生)하여 인사가 되었으니 화침(火針)으로 지르자"하고 끝 좋은 가락 곳이를 불에 달구어 쑥 지르니 배비장의 왼편 눈으로 내려 온다.
배비장 기가 매키어 어뿔사 인제는 통제사를 하나보다. 죽기는 일반이니 악이나 써 보리라 하고,
"여보 아무리 무식하기로 눈망자가 중보(重寶)가 아니오."
이놈이 화침(火針)을 내던지고 하는 말이,
"에그 궤신( 神)이 저 상할 줄 미리 알고 애걸하니 정상이 가긍(可矜)이라. 제몸 상치 않게 궤채 져다 물에 넣으리라."
하고 질방거리 궤를 지고 문을 열며 썩 나서서 노래하되 상두꾼의 소리로 하든 것이었다.
워 너머차 너호 어와 원산에 안개 돌고 근촌(近村)에 닭이 운다.
워 너머차 너호 양곡(兩谷)에 젖은 안개 월봉(月峯)으로 돌아든다.
워 너머차 너호 어장촌(漁庄村)에 개는 짖고 회안봉(回雁峯)에 구름떳다.
동방을 바라보니 명성일점(明星一點) 샛별 뜨고 벽해천리 그늘 진다 고고천변( 天邊) 일윤홍(日輪紅)은 부상(扶桑)에 둥실 높이 떳다.
워 너머차 너호 어와 이 궤를 저다 저물에 드리칠가.
이처럼 지고 가며 소리하니 어디서 한자(者)이 나서며 하는 말이,
"게 네 진 것이 무엇이냐."
"업궤(業 )로세."
"그 궤 내게 파시오."
"업궤신(業 神) 자□가 장질(長疾)병에 약이라니 사다가 □지만 비고 놓고 싶네."
배비장 궤 속에서 이 말듣고 그 중에 좋와라고 혼자 새겨 생각하되 밑천은 없이도 목숨만 살았으면 소리 질러 하는 말이,
"여보 그 뉘신지는 모르거니와 그 흥정 놓치지 마시오. 성에랑은 내하오리."
이놈이 궤를 져다 사또 계신 동헌(東軒) 마당에다 벗어 놓으며 가장 물에다 갖다 넣는듯키 경계하여 이르는 말이,
"궤중귀신( 中鬼神) 네 들어라. 네 죄목(罪目) 만사무석(萬死無惜)이라 창파중에 띄우리니 속거천리(速去千里) 멀리 가거라."
하고 참물에나 띄우는듯키 물을 갖다 옆에 놓고 궤틈으로 부우면서 흔들흔들 정신 잃게 요동(搖動)하니 배비장이 생각하되 궤가 벌써 물에 떴다 물이 들면 가라앉이려니 인제는 신체도 못 찾을네 하면서 궤중에서 탄식(嘆息)한다.
"못 보겠다. 못 보겠다. 천리고향 백발부모 홍안처자 못 보겠다. 이물 속에 죽다 한들 멱라수(멱羅水) 아니어든 굴원(屈原)의 소절(騷節)되며 오강수(吳江水) 아니어든 자서(子胥)의 충절(忠節)될가 이름없고 남 모르게 탐색망신(耽色亡身) 죽게 되니 내 아니 잡놈인가 이런 때 배나 지나가면 목숨이나 살아 볼가."
이처럼 탄식할 제 사또 하인 불러 분부하되,
"너의들이 일시에 배 지나가는 듯이 소리하라."
하인들이 삼문(三門)을 삐득삐득 곤장을 뚝딱거리면서 어기 어차 소리하니 배비장 궤속에서 반겨듣고 궁리하여 생각하되 삐득삐득 하는 소리는 닻감는 소리오. 출렁출렁 하는 소리는 노 젓는 소리로다. 강동으로 가는 배 장한(張翰)인가 날 살리오 오백인(五百人) 싣고 입해도중(入海島中) 빨리 가는배 서블(徐市)인가 날 살리소. 기경태백(騎鯨太白) 소식듣고 풍월 실어 가는 저배 초강어부(楚江漁夫)냐 날 살리소. 임술추(壬戌秋) 적벽강(赤壁江)에 범주유(泛舟遊) 너 왔느냐. 소자첨(蘇子瞻)아 날 살리오. 청산만리(靑山萬里) 함께 가자. 일고주(一孤舟)야 날 살리소. 원포고범(遠浦孤帆)지나는 배 이 궤 실어 날 살리소. 궤중고함( 中高喊) 긴 소리로,
"저기 가는 저배 말좀 묻세."
곁에 있던 저 사령놈 사공인체 하고 썩 나서며,
"무슨 말이오."
"거기 가는 배가 어디 배람나."
"제주 배람네."
"무엇 실었십네."
"미역 전복 해삼 실었십네."
"가지 말고 내 말 듣게."
"어 무슨 말인가."
"어렵지만 이 궤 좀 실어다가 죽을 사람 살려 주오."
한참 이리 수작할 제 한자이 나서며 하는 말이,
"무변대해 저 수중에 궤중언성( 中言聲) 괴이하다. 우리 배에 부정탈라 상아대로 떠밀치라."
배비장이 하는 말이,
"나 잡것 아니오 사람이니 살려주오."
"사람이거든 거주 성명을 일러라."
"제주에 배걸덕쇠요."
한자이 나서며 이른 말이,
"제주라 하는 곳이 물색지지(物色之地)라 분명 유부녀 통간 갔다가 저 지경이 되었지."
"예- 옳소 뉘신지 모르거니와 참 아압니다."
하고 그중에도 좋아라구 하는 말이,
"하날이 도우신가 헌원씨(軒轅氏) 배를 무아 이제불통(以濟不通) 하온 뜻은 날 살리란 배 아닌가 물에 죽을내의 목숨 살려 적덕(積德)이니 적덕으로 날 살리오."
그 자이 하는 말이,
"우리 배에는 부정 탈가 못 올리겠고 궤문이나 열어 줄 것이니 능히 헤어 갈가."
"그랑은 염려 마오 내가 용산(龍山) 삼개 왕래할 제 개헤염 나치나 배왔소."
"이 물은 짠물이라 눈에 들면 멀것이니 감고 헤자."
"눈은 생전 멀지라도 목숨이나 살려 주오."
그 자이 하는 말이,
"그런 지경이면 눈이 멀지라도 날 원망은 마시오."
하고 함정 같이 잠긴 금거북쇠를 툭처 여러노니 배비장이 알몸으로 썩 나서며 그래도 소경 될까 염려하여 두눈을 잔득 가무며 이를 악물고 왈칵 냅다 짚으면서 두손을 헤우적 헤우적 하여 갈제 한 놈이 나서며 이리헤자. 한참 이 모양으로 헤어 갈제 동헌(東軒) 대뜰에다 대궁이를 딱 부디치니 배비장이 눈에 불이 번쩍 나서 두눈을 뜨며 살펴보니 동헌(東軒)에 삿도 앉고 대청(大廳)에 삼공형(三公兄)이며 전후좌우에 기생들과 육방관속(六房官屬) 노령배(奴令輩)가 일시에 두손으로 입을 막고 참는 것이 웃음이다.